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요가수뜨라에서 옴(oṃ)의 의미와 자재신과의 관계=The Meaning of Oṃ and its Relationship with Īśvara in the Yogasūtra
作者 황유원 (著)=Hwang, Yu-won (au.) ; 정승석 (著)=Jung, Seung-suk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47
出版日期2016
頁次35 - 72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황유원: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박사과정 재학
정승석: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關鍵詞요가수뜨라= Yogasūtra; 옴=oṃ(praṇava); 음송; 자재신; 지칭하는 말; 지칭 대상; vācya(designated); japa(repetition); Īśvara; vācaka(designation)
摘要YS 1.27에서는 지칭 대상(vācya)으로서의 자재신을 의미하는 데 있어서 자재신이라는 말 이외의 특별한 vācaka(지칭하는 말)를 상정한다. 이에 가장 적합한 말은 ‘옴’보다 더 적절한 진언이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자재신을 가리킨다고 하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동시에, 자음 없이 모음과 비음으로 이루어진 순수한 진동으로서 어떤 구체적인 대상을 즉각적으로 떠올리게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옴’이라는 진언이 자재신을 가리킨다고 하는 덧씌워진 관념을 배제하고 나면, 옴은 사실상 일상의 경험으로 떠올릴 수 있는 어떤 유형의 대상을 결여하고 있다. 따라서 YS 1.28에서는 옴의 음송과 함께 굳이 그것의 의미인 자재신을 함께 명상하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자재신에 대한 경건한 명상’이라는 수단은 ‘옴’ 음송으로써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순수하고 신성한 경외의 대상이라면 무엇이든 명상 대상으로서의 자재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요가철학의 이론적 관점에서 그것은 ‘특수한 순수정신’으로 제시되었다. 이 경우, 설혹 조물주와 같은 창조신일지라도 이것을 ‘특수한 순수정신’으로 간주한다면, 그러한 신도 명상 대상으로서의 자재신일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자재신의 정체는 ‘순질만을 속성으로 가진 원질’이며, 이것을 ‘특수한 순수정신’으로 일컫는다.

In the Yogasūtra 1.27, Oṃ (praṇava) is introduced as a special vācaka (designation) referring to Īśvara. If Īśvara as ‘a verbal object’(vācya) is referred by the word Īśvara, the confusion (saṅkara) due to the correlation between word (śabda), meaning (artha), and idea (pratyaya) is inevitable, as is stated in YS 3.17. Oṃ, which has a long history of representing Īśvara and supreme reality, consists of only vowels and a nasal. For this reason, it can be regarded as more of a pure vibration than of a designating word. Oṃ appears to be a sign in the sense that the signified is highly abstract in the form of Īśvara in some cases, and in others a sound but not a sign in others. Upon hearing it, one cannot spontaneously bring to mind a specific image that corresponds to the sound, thus Oṃ is the most suitable mantra referring to Īśvara. When the traditional notion that the mantra called Oṃ is the designator of Īśvara is excluded, Oṃ naturally loses its effect as a designator. Thus in case of Oṃ, there are no places for a verbal object which normally exists in our everyday life, and the idea associated with it that normally exists in our mind. This is the reason why YS 1.28 states that the repetition (japa) of Oṃ always has to be performed with the contemplation (bhāvana) of its meaning, which is Īśvara. In this regard, ‘devotional contemplation (praṇidhāna) to Īśvara’ as a means for attaining samādhi can be effectively practiced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syllable Oṃ. Furthermore, any object that is pure, sacred, and awesome can be put in the place of Īśvara 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It is only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Yoga philosophy that Īśvara is presented as ‘a special Soul’(puruṣa-viśesa). In this case, even a god who has the creatorship over the universe—a concept that is impossible to be postulated in the metaphysical system of Yoga philosophy—can take the place of Īśvara 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as long as it is regarded as ‘a special Soul’. The true identity of Īśvara is, of course, ‘the primordial matter’(prakṛti) which has ‘the quality of purity’(sattva) as its only attribute (guṇa), and this is what is meant by the term ‘a pure Soul’.
目次I 들어가는 말. 36
II 옴과 자재신의 관계. 38
III 옴의 음송과 자재신에 대한 명상의 필연성. 52
IV 나가는 말. 67
ISSN12263230 (P)
點閱次數72
建檔日期2023.10.22
更新日期2023.10.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472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