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교 딴뜨라 문헌이 전하는 샤이바(Śaiva) 의례의 도입과 해석=Adoption and Assimilation of Śaiva Rituals as Seen in Buddhist Tantric Texts
作者 방정란 (著)=Bang, Jung-lan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54
出版日期2018
頁次35 - 63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일본 대정대학 종합불교연구소
關鍵詞바즈라야나; 불교 딴뜨라; 밀교 의례; 샤이비즘; 문헌간 상호관계; Intertextuality; Textual studies; Śaivism; Vajrayāna; Tantric rituals
摘要본고는 바즈라야나(Vajrayāna)라고 불리는 불교 딴뜨라의 문헌들이 외부 전통에 관해 직,간접적으로 증언하는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이전의 대승 불교와 비교해 이질적인 요소를 다수 포함하는 바즈라야나의 의례들을 어떤 방식으로 접근, 이해할 수 있는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유사 의례를 차별화하면서, 불교 의례의 권위를 재설정하는 초기 바즈라야나 문헌의 구체적인 구절들을 살펴본다. 더불어 불교와 샤이바(Śaiva)의 딴뜨라 문헌들이 동일한 텍스트를 공유함으로써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온 사례들을 조사한다. 이는 딴뜨라의 수행과 의례가 상이한 종교 전통들 속에서 각기 어떻게 자리 잡게 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이 바즈라야나가 샤이바 등의 외부 전통과 유사할 수 있음을 확실히 인지하고 있던 불교 문헌의 주석자들이 그러한 요소들을 어떻게 불교 고유의 사상과 철학으로 해석해 내는지를 몇 가지 예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고는 불교 딴뜨라 연구를 텍스트의 분석을 바탕으로, 바즈라야나의 발전을 여타 인도 종교 전통의 맥락에서 살펴봤을 때 도출할 수 있는 연구 성과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Vajrayāna, although distinguished from Mahāyāna Buddhism in various respects, is regarded as the later development of Indian Mayāyāna Buddhism. Vajrayāna teaches various tantric rituals and practices that some presumably originated from or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non-Buddhist traditions, particularly, Śaivism. A series of recent ground-breaking articles by Alexis Sanderson has shown significant textual evidence of how Buddhism interacted with other Indian Tantric traditions in a wide range of edited and unedited tantric texts from Sanskrit manuscripts, inscription, etc. This article utilises his methodology and attempts to provide concrete examples, as found in various Buddhist tantric scriptures, which implicitly and explicitly convey attestation of their adoption of Śaiva rituals. In addition, Buddhist commentators were clearly aware of the similarity in ritual and practice of Vajrayāna and other Tantric traditions. Therefore, I examine some passages too how they expounded the fundamental difference of Vajrayāna by elucidating the meaning of Buddhist tantric ritual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philosophical views, Yogācara or Mādhyamika. Conclusively, by introducing textual evidence including the recent findings of scholars in Tantric studies, this article aim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textual studies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Vajrayāna.
目次I 들어가며. 36
II 불교 딴뜨라 문헌들의 정통성 확보. 38
III 딴뜨라 전통들의 텍스트간 상호 관계(intertextuality). 45
IV 독자적 해석과 발전. 52
V 마치며. 56
ISSN12263230 (P)
點閱次數102
建檔日期2023.10.28
更新日期2023.10.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531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