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쌍쓰끄리땀의 아누쓰바라와 콧소리 표기, 그 역사적 맥락과 표기 원칙=Writing anusvāra and nasal consonants in Sanskrit, the question of principle and its historical context for practical orientation
作者 강성용 (著)=Kang, Sung-yong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54
出版日期2018
頁次123 - 161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關鍵詞Pāṇini= 빠니니; anusvāra; anunāsika; bindu= 빈두; sandhi= 싼디; prātiśākhya; 짠드라빈두; 아누쓰바라; 콧소리 표기
摘要쌍쓰끄리땀의 표기에서 콧소리(nasal)의 표기와 아누쓰바라(anusvāra)의 사용에 대한 한 상당한 정도의 혼란이 상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근본적인 이유는 빠니니문법의 해석을 잘못 이해한 전문가들의 태도 때문이라고 보인다. 키파스키(Kiparsky)의 해석에 따라 분명히 “더 바람직한” 표기방식이 규정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P.8.4.58~59의 규정에 따라 더 바람직한 표기방식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러한 결정의 역사적 의미와 맥락을 규명한다. 이를 위해 『따읻띠리야쁘라띠샤캬』(Taittirīyaprātiśākhya)를 중심으로 역사적인 다양한 분석들을 살피고 그 공통분모를 추출하여 콧소리가 문제되는 맥락을 살핀다. 이를 통해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표기의 원칙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아누쓰바라가 쓰일 수 있는 세 경우를 구분하고 이 경우들의 맥락에 따라 일관된 표기 원칙을 따라야 함을 밝힌다. 터짐소리 자음 앞에서는 -m이 각 터짐소리와 한무리인 콧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이므로 같은 무리에 속하는 콧소리 혹은 아누쓰바라 사용할 수 있지만, 빠니니문법에 따른다면 후자가 바람직한 표기라는 것을 밝힌다. 결국 일관되게 “sāṃkhya”, “saṃjñā”, “saṃtāna”로 표기하거나 “sāṅkhya”, “sañjñā”, “santāna”로 표기하거나 한 쪽을 택할 수는 있겠지만 후자가 바람직하다는 말이다. 추가로 Monier-Williams의 사전에서 “haṃsa”를 “haṉsa”로 표기하여 역사적 어원을 밝히고자 한 시도 등등이 왜 무의미하거나 부작용이 더 큰 시도인지 해명된다.

The majority of Sanskrit researchers are confronted with diverse, or rather chaotic conventions in writing and using anusvāra and other nasals in Sanskrit writing. To make matters worse, it seems difficult to find references to clear and pragmatic answers to these questions. It is very strange to observe this situation even in times when there are numerous scholars who are worthy of giving authoritative answers. The reason for the hesitation of experts, I guess, to give a plain and definitive answer comes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alternative possibilities given in the Pāṇinian rules. But as Kiparsky reveals in his book of the year of 1980, the Pāṇinian sūtra, P.8.5.49 does not just present a simple alternative possibility, but a suggestion of a more preferable articulation. Based on further assumptions that Sanskrit is written as pronounced, and that we ignore the practical limitations given by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Indian scripts, we are able to give clear and unequivocal directions of how and how far anusvāra and (savarga) nasal consonants are to be used. This orthographic question is related to a multi-layered and diverse historical problems. One part of it is the phonetic and phonemic analysis of the anusvāra sound, in contrast to anunāsika. I review some discussions around this theme presented in some prātiśākhya texts, which have relevance to Pāṇinian standpoint. The Taittirīya-Prātiśākhya is mainly consulted for the reason that it give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numerous prātiśākhya traditions as well as the different opinions in the same tradition itself. After distinguishing some historically connected issues to the theme, I would like to present a practical and clear suggestions to the orthographic orientation in writing nasal sounds in Sanskrit in general. Three cases of anusvāra sounds are sorted out and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to be followed in orthography is clarified. Furthermore, the preferable way of writing nasal sounds in Sanskrit is suggested for practical uses. In the closing, some problematic attempts observable in the Monier-Williams’ dictionary to represent some historical analysis of the nasal sounds in a very sporadic way is reviewed in a clarifying and critical way.
目次I 표기방식의 편차와 문제. 124
II 문제의 다중적 맥락. 129
III 아누쓰바라와 아누나씨까 그리고 빈두와 짠드라빈두. 132
IV 아누쓰바라의 발음에 대한 논쟁. 139
V 빠니니체계 수용과 빠니니의 분석방식. 146
VI 표기의 문제와 진짜 아누쓰바라. 148
VII 실용적 표기 원칙. 153
VIII 기존 표기방식들의 검토. 155
ISSN12263230 (P)
DOI10.32761/kjip.2018..54.005
點閱次數90
建檔日期2023.10.28
更新日期2023.10.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531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