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안반수의경』의 수식관(數息觀)과 요가의 조식(調息)=The Ānapānasati of Buddhism and the Prāṇāyāma of Yoga
作者 최현성 (著)=Choi, Hyeon-seong (au.) ; 정승석 (著)=Jung, Seung-suk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59
出版日期2020
頁次39 - 75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최현성(도연 스님, 주저자): 동국대학교대학원 인도철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수료.
정승석(교신저자):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關鍵詞안반수의경; 삼매; 선정; 수식관; 요가주; 조식; 호흡법; Ānāpānasati;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Dhyāna; Mahānapānasmṛti-sūtra; Prāṇāyāma; Samādhi; Yogasūtra-bhāṣya
摘要『안반수의경』에 의거한 불교의 수식관과 『요가주』에 의거한 요가의 조식은 지혜 발현을 위한 기본 수단인 동시에 명상의 정점인 선정 또는 삼매 성취의 시발이 된다. 그러나 붓다는 안반수의에 의해 고통을 겪는 것이 무익했다는 경험을 천명하지만, 요가의 조식은 호흡의 억제에 의한 고통의 감내를 요구한다. 호흡의 억제를 수련하는 조식은 8지 요가의 넷째 단계이며, 이를 위해서는 좌법(āsana)에 반드시 숙달해야 한다. 이 같은 기본 요건에서부터 좌법을 수식관과 병행하는 자세로 간주하는 『안반수의경』과는 입장을 달리한다. 수식관은 호흡의 횟수를 들숨과 날숨을 포함하여 열 번까지로만 한정하여 호흡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있는 그대로 관찰한다. 이에 반해 요가의 조식은 기본적으로 호흡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중지하는 수련이다. 자율신경에 의해 생리적으로 진행되는 호흡은 지속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수식관은 이 사실을 결코 거역하지 않는다. 반면에 조식은 호흡의 지속적인 진행을 중지한다는 데 특징이 있다. 수식관에서는 숨을 열 번까지만 헤아리는 것으로 제한하여 ‘몸이 극도로 긴장되고 안정되지 않는’ 조식의 폐단을 예방했다. 요가의 조식에서 이에 상응하는 대안을 찾자면 제4 조식을 지목할 수 있다. 즉, 호흡 억제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극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호흡의 진행을 중지하는 제4 조식은 조식의 폐단을 완화하는 장치로 간주될 만하다. 불교와 요가의 호흡법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행론의 지향성에서는 양측의 상응성을 추출할 수 있다. 『요가주』에서 ‘조식 → 정화(淨化) → 지혜’라는 인과로 표방한 수행론의 기조는 수식관의 6단계에도 적용되어 있다. 다만 『요가주』의 경우에는 조식이 인도의 옛 전통을 따르는 고행으로 전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식은 고행의 일환인 반면, 수식관은 심신의 고통을 유발하지 않고 수월한 호흡법을 채택한다.

The Buddhist theory of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based on the Mahānapānasmṛti-sūtra(Pāli, Ānāpānasati-sutta) and the Prāṇāyāma(breath-exercises) of Yoga based on the Yogasūtra-bhāṣya are the foundational means of generating wisdom which at the same time, are the intial step to archive the Dhyāna or Samādhi, the zenith of meditation. Nevertheless, the Buddha affirms the actual exp-erience that it was useless to suffer by Ānāpānasati, whereas Prāṇāyāma of Yoga demands the endurance of suffering by suppressing breathing. Prāṇāyāma, the practice of restraint of breathing, is the fourth stage of Aṣṭāṅga-yoga, which has to be mastered in Āsana. From this basic requirement, the position differs from that of the Mahānapānasmṛti-sūtra, which regards Āsana as a position parallel to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limits the number of breaths to ten, including the inspiration and the exhalation, to observe the natural stream of breath as it is. In contrast, Prāṇāyāma of Yoga is basically a practice to artificially stop the flow of breathing. Breathing that proceeds physiologically by the autonomic nerve is bound to have persistence. The theory of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never goes against this fact. Prāṇāyāma, on the other hand, is characterized by stopping the continuous progression of breathing. The the theory of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prevented the abortion of Prāṇāyāma ‘the body is extremely tense and unstable’ by limiting breathing to ten times. To find a corresponding alternative in Prāṇāyāma of Yoga, the fourth Prāṇāyāma can be pointed out. In other words, the fourth Prāṇāyāma, which naturally stops the progression of breath by sequentially overcoming the stages of respiratory depression, deserves to be considered as a device to alleviate the end of Prāṇāyāma. Althoug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reathing methods between Buddhism and Yoga, the correspondences of both sides can be extracted from the orientation of practical theory. In the Yogasūtra-bhāṣya, the foundation of practical theory, which is a causality of ‘Prāṇāyāma → Viśuddhi (purification) → Jñāna (knowledge)’, is also applied to the six stages of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Nevertheless, Prāṇāyāma in the case of the Yogasūtra-bhāṣya is presupposed as an ascetic that follows the ancient traditions of India. Consequently, while Prāṇāyāma is part of asceticism, the ‘concentration by in-breathing and out-breathing’ adopts comfort breathing method that does not caus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目次I 서론. 40
II 『안반수의경』의 수식관. 45
III 요가의 조식. 53
IV 수식관과 조식의 호흡법 비교. 60
V 결론 65
ISSN12263230 (P)
點閱次數63
建檔日期2023.10.29
更新日期2023.10.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539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