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인도 불교 승원의 질병과 치료 -『마하박가』(Mahāvagga)를 중심으로=A study of the Diseases and Medical Treatments in Indian Buddhist Monasteries: Based on the Mahāvagga
作者 이은영 (著)=Lee, Eun-young (au.) ; 양영순 (著)=Yang, Young-sun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65
出版日期2022
頁次355 - 389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이은영(주저자):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ley0401@khu.ac.kr
양영순(교신저자):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연구교수. suriya77@naver.com
關鍵詞불교 승원=Buddhist monastery; 마하박가= Mahāvagga; 비나야삐따까= Vinayapiṭaka; 질병=disease; 치료=medical treatment; 의료= medicine
摘要고대 인도의 불교 승원은 수행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의료의 공간이었다. 본고는 고대 인도 불교 승원의 의료를 연구하기 위해 비나야삐따까(Vinayapiṭaka)의 『『마하박가』(Mahāvagga), 그 중에서도 특히 「약건도」(Bhesajjakkhandhaka)와 「의건도」(Cīvarakkhandhaka)에 나타난 질병과 치료를 분석하였다. 『마하박가』에는 병인론이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다른 불교 문헌에 나타난 불교의 병인론인 3 도샤론 및 4요소의 부조화는 당대 인도의학의 병인론과 거의 같다. 이러한 병인론을 전제하는 『마하박가』에는 출가승의 다양한 질병 발생사례와 치료방법이 수록되어 있다. 불교 승원에서 발생한 질병에는 가을병(가을의 소화불량과 황달 증세), 관절통, 복통, 피부병, 두통, 치질, 눈병 등이 있다. 치료법은 크게 약물 복용법, 약품 도포법, 발한법, 연기 흡입법 등이 있다. 이중에서 약물 복용법은 다시 두 가지로 나뉘는데 다섯 가지 기본약(정제버터, 생버터, 기름, 꿀, 사탕수수즙)을 복용하거나, 여타 식물 뿌리, 수렴제, 잎, 열매, 수지 등을 복용하는 방법이다. 승원의 의료는 세간의 의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치료를 시행하고, 병세를 관찰하며 다시 다른 치료를 시도하는 형태를 보였다. 엄격하고 구체적인 규율로 관리된 불교 승원의 공동체 생활은 체계적인 의료의 시행과 약물 수집 및 관리를 가능케 했다. 그러나 승원에서는 단순히 치료 효과만 고려해서 의료를 행하지는 않았다. 출가승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도모하되, 그것이 불교 수행에 적합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의료를 시행했다. 즉, 승원에서는 출가승의 욕망이 자극되는 일이 없도록 의료와 수행의 균형을 추구했다. 불교의 실천 원칙인 중도(中道)가 불교 승원의 의료에도 적용된 것이다.

The ancient Indian Buddhist monastery was not only a place of discipline but also a place of medicine. This paper investigates diseases and medical treatments in ancient Indian Buddhist monasteries in the Mahāvagga of the Vinaya Pitaka, especially in Bhesajjakkhandhaka and Civarakkhandhaka. There is no specific disease etiology in the Mahāvagga. However, the three-doṣa theory and disharmony with the four elements theory that appeared in other Buddhist literature nearly mirror the etiology of Indian medicine at that time. The Mahāvagga is also premised on such a theory and documents various illnesses of monks and their treatment methods. The diseases recorded in the monasteries included autumn disease (indigestion and jaundice in autumn), joint pain, abdominal pain, skin disease, headache, hemorrhoids, and eye disease. The medical treatments included taking five basic drugs (clarified butter, fresh butter, oil, honey, and sugarcane), eating plant roots, leaves, and fruits, applying ointments, sweating, and inhaling smoke. The medical treatments in monasteries were based on public medical knowledge and involved examining the medical condition and trying various treatments. The community life of Buddhist monks was governed by strict and specific rules, which made it possible to administer medical care and collect and manage medicines. Buddhist monasteries consider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treatments. Medical treat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monks could cure their diseases and promote their health, but they had to align with the Buddhist discipline. In other words, they balanced medical treatments and practice so that the desire of monks were not stimulated. The Buddhist principle of the Middle Way was applied to medical care in Buddhist monasteries.
目次I 머리말. 356
II 인도 불교 승원의 질병. 360
III 인도 불교 승원의 치료. 368
IV 의료와 수행의 균형. 379
V 맺음말. 382
ISSN12263230 (P)
點閱次數101
建檔日期2023.10.29
更新日期2023.10.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543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