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고대인도 전적에서 선정의 기원 문제=A Study on Origin of Meditation in Ancient India
作者 조준호 (著)=Cho, Joon-ho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66
出版日期2022
頁次37 - 67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문화연구원 초빙교수
關鍵詞선정= meditation; 사띠= sati; 사마타 위빠사나= samathavipassana; Jainism=자이나교; 알라라 깔라마= Ālāra Kalama; 웃다까 라마뿟따= Uddaka Rāmaputta
摘要사띠(sati)와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는 선정의 가장 핵심적인 전문용어이다. 본고는 사띠와 사마타 위빠사나의 기원을 밝힌다. 성도 이전에 붓다는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로부터 선정 지도를 받았다. 이로써 사띠와 사마타 위빠사나와 관련된 불교 선정의 기원은 외부 기원설로 제기되어 왔다. 학계는 그들이 바라문교 수행자로서 바라문교의 선정 사상을 성도 이전의 붓다에게 사사한 것처럼 기술해 왔다. 하지만 본고는 결정적으로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가 바라문교 수행자가 아니라 니간타 수행자였음을 밝힌다. 이 점을 초기불교의 부파전적이나 초기 자이나경전에서도 증명한다. 더 나아가 그들의 무소유처와 비상비비상처의 경지도 니간타 자이나교와 관련성이 나타난다. 나아가 본고는 불교의 선정수행의 기본인 사선(四禪)부터 니간타 자이나교에서 기원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석가모니 붓다의 6년 고행이라는 행적 구성과도 부합된다. 그렇다면 현재까지 바라문교와 사문종교를 각각 전변설과 적취설로 대별시킨 뒤 수정주의와 고행주의로 구분하는 것도 재고되어야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사띠(sati)에 바탕한 사마타 위빠사나를 새롭게 구명해 나갈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Sati, samatha and vipassana are the most important of technical terms in medit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of Buddhist meditation related to sati and samatha-vipassana. Ālāra Kalama and Uddaka Rāmaputta were the two teachers of the Buddha to whom he went for instruction after his renunciation. In particular, the two teachers are said to have taught meditation such as the sphere of nothingness(ākiñcaññāyatana) and the sphere of neither perception nor non-perception(nevasaññānāsaññāyatana) to the Buddha,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origin of Buddhist meditation related to sati and samatha-vipassana was 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other religions. In the field of Indology and Buddhist Studies, the two teachers of the Buddha, as Brahmanical practioners, have described Brahmanical meditation instructed to the Buddha. However, this paper conclusively reveals that Ālāra Kalama and Uddaka Rāmaputta were Nigantha ascetics of Jainism, not Brahmanical practioners. Mahāvastu and Isibhāsiyaāiṁ testify that they are Nigantha ascetics. Mahāvastu and Isibhāsiyaāiṁ are their canonical scriptures of early Buddhism and early Jainism, respectively. Because of this, their ākiñcaññāyatana and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 imply that they are also related to Jainism.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almost certain that Ālāra Kalama and Uddaka Rāmaputta are historical figures rather than fictional ones.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four progressive states of meditations(dhyāna/jhāna), which are the basics of Buddhist meditation originates from Nigantha Jainism.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tory that the Buddha practiced asceticism for six years before attaining enlightenment. The field of Indology has divided Brahmanism and Śramaṇism into the theory of transformation(pariṇāma-vāda) and the theory of accumulation (Ārambha-vāda), respectively. The problem is that until now, these theories of transformation and the theory of accumulation are explained as being developed into meditation and austerity, respectively. However, this distinction is wrong and needs to be corr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a new investigation of samatha-vipassana based on sati.
目次I. 들어가는 말. 38
II.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의 바라문교 수행자설 검증. 40
III.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의 니간타 수행자설 논증. 43
IV. 자이나교 선정 사상과 석가모니 붓다 52
V.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 붓다의 6년 고행. 57
VI. 마치는 말. 60
ISSN12263230 (P)
點閱次數86
建檔日期2023.10.29
更新日期2023.10.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543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