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화엄금사자장』에 나타난 연기 사상=The Thought of pratl-tyasamutpa-da(緣起思想) appeared in the Avatamska-Golden-Lion-Chapter『( 華嚴金獅子章』
作者 신규탁 (著)=Shin, Gyoo-tag (au.)
出處題名 불교문예연구=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and Art
卷期n.창간호
出版日期2013.08
頁次113 - 142
出版者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出版者網址 http://dongbang.ac.kr/html/laboratory03/sub01.php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연세대 철학과 교수
關鍵詞현수 법장(643~712)=賢首法藏=Hyunsubeopjang; 『대승기신론』=Mahayana ́s raddhotpa-da ́sa-stra=『大乘起信論』; 연기사상= The Thought of pratltyasamutpada=緣起思想; ‘법성철학’=The philosophy of dharmata=法性哲學; 『화엄금사자장』= Avatamska-Golden-Lion-Chapter『華嚴金獅子章』; ‘금사자(황금으로 만든 사 자)’=The Golden Lion(made of golden lion)
摘要이 논문은 현수 법장(賢首法藏; 643~712)이‘금사자(황금으로 만 든 사자)’를 비유로 삼아 연기사상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설명 했다. 설명하는 방법은『화엄금사자장』을 번역하고 소개함과 동시에 화엄에서 바라보는‘법계연기사상’에 대하여 해설했다. 이 과정에서 『화엄법계관문』의 관계를 설명하며‘사사무애법계관’을 인용하여 연 기사상에 대한 설명을 부연하였다. 더불어 필자는 여러 저술 속에서 바탕으로 한‘법성철학’이라는 신(新)개념을 주장, 논증했다. ‘법성철학’의 신(新)개념체계는『대승기신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승기신론』일심(一心)의 본질, 그중 진여적(眞如的) 속성은‘묘유 (妙有)’하고 진공(眞空)하다. 법성은‘진공이면서도 묘한 방식으로 존 재하는 것’이다. 『화엄금사자장』은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장들은 서로 병렬관계를 가진다. 금의 바탕을 변하지 않는‘진여(참 마음)’라고 보 고, 사자의 형상을‘인’과‘연’이 만나 생기고 사라지는‘생멸’의 상 태로 본다. 이런 수많은‘연’들은 쉼 없이 생성하고 소멸하는 연기로 영원하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공’을 알아야 하 고, ‘색’을 떠나‘공’이 별도로 실재한다 생각해서도 안 된다. 또한 금사자는 황금만을 노리는 도둑에게는 (사자의 형상은 없이)오로지 금으로만 보이고, 조각가 등 예술가에게는 (순금이 없이)오로지 사자 의 형상에만 쏠린다. 어디에 눈을 파는가에 따라‘드러나고’,‘ 숨고’ 를 하며 중중 무진으로 연기한다. ‘숨고’‘드러나는’본질적구조로인해서,‘ 진여’가움직이면, 그에 수반하여‘무명’도 따라서 움직인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마음의 작 용’속에는‘진(眞)’과‘망(妄)’이 혼융되어 있다. 결국은‘무명’쉬어 야하는데,‘ 무명’쉬게하려는것도역시‘마음의작용’이다. 결국은 ‘무념(無念)’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how Hyunsubeopjang(賢首法藏; 643- 712) used the Golden Lion(made of golden lion) as an analogy to explain the thought of pratl-tyasamutpa-da(緣起思想). The method to explain it is to translate the Avatamska-Golden- Lion-Chapter『( 華嚴金獅子章』) and at the same time to interpret the thought of beopgye-pratl-tyasamutpa-da(法界緣起 思想). In this process, I explain the relation of the Gateway of Avatamska-Beopgye『( 華嚴法界觀門』)and dilated upon pratltyasamutpa- da by quoting ‘Sasamuaebeopgyegwan’(事事無 法界觀). In addition, I argue the new concept of the philosophy of dharmata- (法性哲學) through the various writings. The new concept system of the philosophy is based on Mahaya- nas´raddhotpadas ´astra( 『大乘起信論』) ; dharmata- (法 性) exists in a way of vacuum, yet subtlety. The Avatamska-Golden-Lion-Chapter『( 華嚴金獅子章』) is comprised of 10 chapters, which have parallel relationship to each other. The basis of gold is constant tatha-ta-(眞如) and the shape of lion looks like the situation of life and death,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These numerous relations are open to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We should not think that the relations are eternal. We need to learn the s´unya(空) through this process, and should not think the s´unya(空) exist separating with ru-pa(色). The golden lion comes in sight as gold by thieves, and as the shape of lion by artists, depending on what they want to see. The essential structure of hide and exposed makes the movement of tatha-ta-(眞如), accompanying movement of the ‘anonymous’accordingly. In other words, our “works of heart”is composed of truth and untruth. After all, the ‘anonymous’needs to rest, and it is the result of“ works of heart”. Eventually the emptiness of mind is essential.
目次Ⅰ. 머리말 116
Ⅱ.『 화엄금사자장』의 해석과 해설 118
Ⅲ.『 화엄법계관문』과의 관계 132
Ⅳ. 맺음말 136
ISSN22889191 (P)
點閱次數70
建檔日期2023.11.11
更新日期2023.11.1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657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