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교에서 언어에 의한 대상세계 구성의 문제: 유식사상에 나타난 언어적 전회=Constructing the World through Language in the Yogācāra Buddhism: Linguistic Turn in the Theory of the Three Natures
作者 안성두 (著)=Ahn, Sung-doo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59 n.0
出版日期2023.08.30
頁次41 - 75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전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
關鍵詞삼성설=Three-nature theory; 세친= Vasubandhu; 능취-소취; 능전-소전; 브롱코스트의 대응원리; 언어적 전회; Correspondence Principle of Bronkhorst; grāhya-grāhaka distinction; abhilāpa-abhilāpya distinction; linguistic turn
摘要인도사상이 언어에 대해 근본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 브롱코스트(Bronkhorst 2011)는 인도사상에 나타나는 언어와 대상 간의 대응관계를 ‘대응원리’(correspondence principle)이라 부르면서, 그것이 용수(Nāgārjuna, ca 150-250) 이후 반천년 동안 인도고전시기의 여러 학파들의 사유의 근저에 놓여있다고 주장했다. 본 논문은 불교사상, 특히 인도유식문헌에 나타난 삼성설에 그의 대응원리를 적용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삼성설 중의 변계소집성의 해석에 나타나는 언어의 대상구성적 측면을 인도사상에서의 언어적 전회(linguistic turn)로서 간주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삼성설을 문헌의 설명에 따라 두 개의 흐름으로 구별했다. 하나는 식의 흐름에 초점을 맞춘 능취(grāhaka)-소취(grāhya)의 관점에서의 설명이고, 다른 하나는 변계소집성의 설명에서 능전(abhilāpa)-소전(abhilāpya)의 관점을 적용하는 설명이다. 나는 유식문헌 일부에 보이는 후자의 해석이 인도사상에서의 언어적 전회에 해당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It is widely known that Indian thought has a fundamental interest in language. Recently, J. Bronkhorst published a series of studies that drew our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objects in Indian thought. In Language and Reality (2011), in particular, he designates this principle as “Correspondence Principle”, and argues that it lay at the root of the thoughts of various schools of the Indian schools for over half a millennium after Nāgārjuna (ca 150-250).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apply his correspondence principle to Buddhist ideas, especially to the Three-Nature (svabhāvatraya) theories of Indian Yogācāra-Vijñānavāda school, and to understand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alled “Linguistic turn” in Indian Buddhism. To this purpose, I try to distinguish the Three-Nature theory into two flows. One is an expla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esis-Noema (grāhaka-grāhya) corelation, to use the terminology of Phenomenology, and the other is to apply the perspective of the expression-the expressed (abhilāpa- abhilāpya) relation to the fictive nature (parikalpitasvabhāva). For me, the latter flow could be rightly understood as a linguistic turn in Indian thought.
目次Ⅰ. 문제제기 43
Ⅱ. 인도사상사에서 언어의 문제와 불교의 관점 47
Ⅲ. 유식사상의 삼성설: 변계소집성에 대한 두 가지 해석 50
1. 의식 양태의 존재론적 분석에 중점을 둔 삼성설 53
2. 사유작용의 근거를 언설에서 찾으려는 삼성설 57
3. {대승장엄경론}의 삼성설 61
Ⅳ. 언어와 세계: 불교사상의 기여 66
ISSN12253154 (P)
點閱次數50
建檔日期2023.11.28
更新日期2023.11.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799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