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간화선의 화두의심과 분심에 대한 현대적 해석 - 대혜종고와 몽산덕이·고봉원묘의 간화선에 나타난 특징을 중심으로=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Doubt of Hwadu and the Endeavoring Heart in Ganhwaseon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Ganhwaseon at Dahui Zonggao and Mengshan Deyi·Gaofengyuanmiao
作者 오용석 (著)=Oh, Yong-Suk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65 n.0
出版日期2023.08
頁次65 - 96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원광대‌마음인문학연구소‌학술연구교수
關鍵詞대혜종고=Dahui-Zonggao; 몽산덕이=‌Mengshan-Deyi; 고봉원묘=‌Gaofeng-Yuanmiao; 화두의심=Doubt of Hwadu; 분심=Endeavoring Heart; 그릿= Grit; 바이런‌케이티=Byron Katie
摘要본 연구는 한국불교의 중심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는 간화선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여 간화선의 현대적 활용을 모색했다. 이러한 논의는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시도되었다. 첫째, 한국불교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대혜종고, 몽산덕이, 고봉원묘의 간화선에 나타난 특징을 화두의심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간화선이 대혜보다는 몽산덕이와 고봉원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특히 화두의심의 단계적 성숙을 강조하고 있음을 논의했다. 그러나 간화선의 정립자인 대혜는 화두의 단계적 성숙보다 자신의 문제를 돌이키는 방식으로서의 화두참구를 제시했다. 둘째, 고봉원묘가 제시한 분심의 해석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고봉원묘는 분심을 부모를 죽인 원수에게 원한을 갚는 마음으로 간절하게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했고, 한국의 간화선에서도 분심을 자책감, 불가능한 것를 가능하게 하는 엄청난 의지력과 인내 등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심에 대한 해석은 고봉 자신의 선적 체험에 의한 것으로 간화선의 확립자인 대혜가 강조한 결정적인 의지와 그 결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간화선의 화두의심과 분심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해석했다. 먼저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화두의심의 방법은 몽산과 고봉이 강조했던 동정일여, 몽중일여, 오매일여와 같은 의정의 단계적 성숙에 의한 방식보다는 대혜가 강조했던 일상의 문제 속에서 의문을 통해 마음을 돌이키는 방식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 방식이 RHM(Recovering Human Mind: 인간 마인드 회복) 프로그램, 바이런 케이티의 ‘작업(The Work)’ 등을 통해 시도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봉의 분심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앤절라 더크워스가 제시한 ‘그릿(Grit)’의 개념으로 해석했다. 고봉이 제시한 분심은 대혜가 제시한 결연한 의지를 말하는 것으로 자구대로만 해석하면 대혜가 강조한 대자비행을 소홀히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그릿은 이타주의적 태도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간화선의 근본 목적과 연결되는 측면이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n utilization of Ganhwaseon, a central practice of Korean Buddhism, by interpreting it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This discussion is attempted from three main perspective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Ganhwaseon at Dahui-Zongggo, Mongshan-Deyi, and Gaofeng-Yuanmiao, which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Buddhism, with a focus on topicality. It was argued that Korean Ganhwaseon is more influenced by Mongshan and Gaofeng than by Dahui, and that it emphasizes the stages of maturity of the Doubt of Hwadu. However, Dahui, the founder of Ganhwaseon, presented the Doubt of Hwadu as a way of turning around one's problems rather than the stages of maturity of the Doubt of Hwadu. Secondly, it raises the issue of the interpretation of Endeavoring Heart(憤心) given by Gaofeng. Gaofeng interpreted Endeavoring Heart as the desire to avenge one’s parents’ deaths, and the Korean Ganhwaseon interpreted Endeavoring Heart as self-reproach and the immense willpower and perseverance to make the impossible possible. However, this interpretation of Endeavoring Heart is based on Gaofeng’s own individual experience and differs from the decisive will emphasized by Dahui, the founder of Ganhwaseon. Third, the author approaches and interprets Ganhwaseon’s the Doubt of Hwadu and Endeavoring Heart from a modern perspective. First of all, the method of mindfulness that is suitable for modern people is the method of turning the mind through doubting in everyday problems that Daehui emphasized, rather than the method that Mongshan and Gaofeng emphasized, which is based on the gradual maturation of rituals such as Dongjeongilyeo(動靜⼀如), Mongjungilyeo(夢中⼀如), and Omaeilyeo(寤寐⼀如). I examined how this approach is being attempted through the Recovering Human Mind (RHM) program, Byron Katie’s The Work, and others. I also interpreted Gaofeng’s Endeavoring Heart in terms of Angela Duckworth’s concept of “Grit” from a modern perspective. Gaofeng’s concept of Grit refers to the determination suggested by Dahui, and if it is interpreted in a literally, it may neglect the practice of compassion emphasized by Dahui. Grit, on the other hand, emphasizes an altruistic attitude, which is appropriate with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Ganhwaseon.
目次Ⅰ. 들어가는 말 66

Ⅱ. 한국 간화선의 특징과 재고할 점 - ‘화두의심’을 중심으로 68

Ⅲ. 고봉원묘의 ‘분심’,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75

Ⅳ. 간화선의 화두의심과 분심에 대한 현대적 접근 81

Ⅴ. 나가는 말 89

ISSN15980588 (P)
點閱次數56
建檔日期2023.12.09
更新日期2023.12.0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871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