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일심지원 혹은 일심이란 무엇인가? ― 분황 원효 깨침사상의 구심과 원심=What is One Mind or the Origin of One Mind? - The central idea i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Wonhyo’s enlightenment
作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出處題名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卷期v.2 n.0
出版日期2018.04
頁次95 - 132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者網址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關鍵詞One Mind as tathagathagarbha=여래장으로서 일심; One Mind as Nirvana=적멸으로서 일심; 본법으로서 일심=One Mind as fundamental dharma; 진망화합식=consciousness in which the true and false are merged; innately undefiled mind=자성청정심; One Mind=일심=眞如; Origin of One Mind=일심지원=本覺
摘要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 元曉, 617~686)의 깨침사상의 구심과 원심을 ‘일심지원’(本覺)과 ‘일심’(眞如)의 기호를 통해 구명한 글이다. 우리는 고타마 붓다가 보여준 자유롭게 사는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불자이자 불제자이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오늘 이곳에서 보다 더 자유롭게 살수 있을까? 우리는 어떻게 해야 중생인 우리와 부처인 고타마의 거리를 최소화시키고 무화시킬 수 있을까? 우리의 깨침 혹은 깨달음 담론은 신라의 원효가 보여준 활로를 통해 조금씩 다가가 볼 수 있었다. 원효는 일심지원과 일심, 본각과 진여의 구도를 통해 중생과 부처가 하나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원효는 중생이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진여문과 생멸문, 즉 구극적 진리와 방편적 진리를 아우르는 일심을 발견함으로써 가능함을 몸소 보여주었다. 그는 내가 있다는 ‘작은 나’[有我]를 넘어서 내가 없다는 ‘덜 큰 나’[無我]를 거쳐 내가 있다와 내가 없다를 넘어선 ‘더 큰 나’[大我,眞我]를 향해 나아가는 길이 곧 부처와 중생이 하나되는 길임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일심지원’ 즉 ‘비인비과로서 일심’인 ‘본법으로서 일심’으로 적멸으로서 일심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을 아우르는 것이었다. 원효가 일심지원과 일심을 상통하면서도 상이한 것으로 파악한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그는 아뢰야식과 여래장의 관계에서는 둘 사이의 차이성을 강조하면서도, 여래장과 일심의 관계에서는 둘 사이의 동일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나서 다시 일정한 단계에 오른 이에게는 일심과 여래장의 차이성을 분명히 하였다. 대개 ‘수행을 하지 않는 중생이 부처’라고 하면 범부는 더 이상 수행을 하지 않을 것이다. 또 ‘부처와 중생은 분명히 다르다’고만 하면 범부는 더 이상 수행을 하지 않을 것이다. 이 때문에 ‘수행을 하여 부처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도, 일정한 단계에 오른 이에게는 ‘부처와 중생의 경계는 다르다’고 함으로써 수행의 질적 전환을 촉구하였다. 원효는 오늘 이곳에서 중생과 부처가 만나고 소통하기 위해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필요성을 환기하면서도, 부처와 중생은 같지 않다는 일깨움을 통해 더 높은 단계의 ‘깨침’으로 나아가는 통로를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원효는 오늘 이곳에 사는 우리가 부처와 중생임을 자각하게 하고, 지금 여기에 사는 우리가 중생과 부처의 통로를 여는 것이 급선무임을 일깨워 주었다. 그는 부처와 중생의 자각과 중생과 부처의 소통의 길을 열었으며, 부처와 중생의 평등성을 인정하면서도 중생과 부처의 차이성을 보여주었다. 원효는 진망화합식을 통해 일심의 평등성에서 비롯되는 ‘깨달음’을 인정하고, 자성청정심을 통해 일심의 차이성에 의거하는 ‘깨침’을 보여주었다. 이것이 원효 깨침 사상의 구심과 원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entral idea of Bunhwang Wonhyo (ca. 617-686) by comparing the concept of One Mind and the origin of One Mind. We are Buddhists who practice Buddha’s teaching to become liberated from all the compulsions in life. But how can we liberate ourselves from the compulsions here, today? How can we reduce the distance between us, the unenlightened people, and Buddha, the enlightened person? We could move forward toward that goal by the path that Wonhyo of Silla provided us. Wonhyo has offered us a way through which an unenlightened person can become an enlightened being, a Buddha. Wonhyo’s approach to attain enlightenment is by discovering One Mind, which has two aspects of truth: fundamental truth and expediential truth; in other words, the true thusness aspect and the arising-and-ceasing aspect of One Mind. His approach to reach the stage of greater self begins with the small self pausing at the stage of absence of self. That is, the stage of greater self is beyond the two previous stages, where the self once existed then disappears to eventually reach the fundamental goal of greater self. This is the stage where the Buddha and the unenlightened being become one. Here, the concept of Origin of One Mind, or One Mind as original enlightenment, includes both the concept of One Mind as Nirvana and One Mind as an embryo that will become Buddha. It is at this point that Wonhyo considered One Mind and the Origin of One Mind to be both same and different. He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consciousness and tathãgathagarbha. But he did not recognize any difference between tathãgathagarbha and One Mind; however, once a practitioner reaches a certain level, Wonhyo changes his words and recognizes the difference. The reason would be probably this: If somebody said that any sentient being is originally a Buddha, nobody would find any necessity to practice becoming enlightened. As well, if somebody said that a sentient being is different from Buddha, people would just give up and not practice. Therefore, the right way to lead people toward practice would have been to tell people that “you can become enlightened through practice.” However, when they reach a certain point, it would have been proper to tell them that Buddha and sentient beings are different. This would have been an appropriate method to lead people to make a qualitative transformation. Therefore, we can find that Wonhyo has presented us with two scenarios here. In the first one, he says that we are inherently Buddha, although living as unenlightened beings. Here he emphasizes the natural equality be
目次1. ‘오늘 이곳’에서 부처와 중생의 자각 97

2. 무엇을 깨치고 어떻게 깨달아야 하는가? 100

3. 일심지원과 일심 또는 본각과 진여 104

4. 본각의 결정성과 일심의 신해성 113

5. 어떻게 사는 것이 자유롭게 사는 것인가? 120

6. ‘지금 여기’에서 중생과 부처의 소통 126
ISSN25863843 (P)
點閱次數64
建檔日期2024.01.07
更新日期2024.01.0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9079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