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분황 원효와 문아 원측의 유식학 이해 ― 불성론과 종성론을 중심으로=Bunhwang Wonhyo and Muna Wonchuk’s Understanding on Yogācāra Theory: Focusing on the Theory of Buddha-Nature and Seed-Nature
作者 고영섭 (著)=Ko, Young-seop (au.)
出處題名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卷期v.5 n.0
出版日期2019.10
頁次75 - 137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者網址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關鍵詞union of innate seed and newly perfumed seed=합생종자; newly perfumed seed=신훈종자; innate seed=본유종자; Buddha-Nature acquired through practice; Buddha-Nature as the principle; theory of five Seed-Natures=오성각별설; theory of Buddha-Nature=일체개성설; 행불성; 리불성
摘要이 논문은 7세기 동아시아의 대표적 철학자이자 사상가였던 분황 원효(617~686)와 문아 원측(613~696)의 불성론과 종성론을 중심으로 두 사람의 유식학 이해를 살펴본 글이다. 이들은 같은 신라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만난 적이 없었다. 이들의 저술에는 상호 영향이나 인용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교체론, 교판론, 심식론, 불성론, 수행론 등에서 깊게 만나고 있다. 이들 두 사람이 모색했던 불성론과 종성론은 성불론과 수행론으로 이어지면서 불교의 대표적 논제로 자리를 잡아왔다. 이들은 종래의 이론들을 흡수하면서도 구역의 진제와 신역의 현장이 주장하는 불성론과 종성론과 변별되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주목되는 것은 이들은 중생이 부처가 되고 부처가 중생을 버리지 않는 길을 열어두려고 했다는 지점이다. 원측과 원효는 불설(佛說)의 핵심인 중도(中道)의 다른 표현인 일승(一乘)과 일심(一心)의 관점 아래 회석(會釋)하고 화회(和會)하였다. 원측은 자신의 불성론과 종성론을 일승(一乘)과 진여(眞如)의 입장에서 일심으로 회석하였다. 그는 일승을 불승과 법신으로 파악하고 1) 진실일승/방편삼승의 관점에서 진제의 일체개성설, 2) 방편일승/진실삼승의 입장에서 현장의 오성각별설을 정리한 뒤 3) 진실일승/방편삼승과 방편일승/진실삼승의 관점을 종합하여 일심으로 회석을 시도하였다. 그는 진여(眞如)를 불성으로 보고 불성을 다시 리(불)성과 행(불)성의 측면으로 나누어 보았다. 1) 리불성은 진실일승/방편삼승의 측면으로, 2) 행불성은 방편일승/진실삼승의 측면으로 파악한 뒤 『해심밀경』의 경설을 위배하지 않으면서 일승과 진여 즉 불성의 입장에서 진리 이치로서 불성인 리불성과 실천 행위로서 불성인 행불성을 일심으로 회석하여 일체 중생의 성불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원효는 자신의 불성론과 종성론을 일심(一心)과 불성(佛性)의 입장에서 화회(和會)하였다. 그는 종래 동아시아의 불성론을 미래의 결과[當有之果]와 지금의 원인[今有之因], 궁극적 관점[眞諦]와 세속적 관점[俗諦], 독자의 자아[人說]와 마음의 현상[法說], 일어난 마음[上心, 起]과 잠복한 마음[種子, 伏] 등의 범주로 총설하고 구분(分別)하여 시비를 가려 간다. 특히 앞의 다섯 법사는 ‘불염이염’ 즉 [본연은] 오염되어 있지 않지만 [현실은] 오염되어 있는 입장인 반면 여섯 번째 법사는 ‘염이불염’ 즉 [현실은] 오염되어 있지만 [본연은] 오염되어 있지 않음, 1) 일체개성설의 진여불성과 2) 오성각별설의 법이종자 등 여러 법사들의 불성 담론을 소개하면서 오염을 따르는 마음과 오염을 따르지 않는 마음의 측면에서 화쟁하고 회통하였다. 원효는 현장의 오성차별설의 본유종자와 진제의 일체개성설의 신훈종자 담론을 합생 과종자 담론으로 화쟁하고 회통하였다. 그것은 공통의 측면과 차이의 측면에서 진리(眞理)의 보편성과 타당성을 구분한 뒤 일반적 타당성(道理)과 부분적/제한적 타당성(一理)과 전무의 타당성(無理)으로 해결해 나갔다. 이들은 불설의 핵심인 중도를 구현하기 위해 원측은 일승사상에 입각하여 불성론과 종성론을 회석하였고, 원효는 일심사상에 입각하여 불성론과 종성론을 화회하였다. 이들이 구현하려고 한 불성론과 종성론은 일체 중생의 성불 가능성을 열어두려는 것이었다. 그것은 진리-도리-일리의 범주 위에서 일승으로 회석할 수 있었고 일심으로 화회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원측과 원효의 담론은 이후 동아시아 불교사상가들의 불성론과 종성론과 성불론과 수행론의 전범이 되었고 기준이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Bunhwang Wonhyo’s (617~686) and Muna Wonchuk’s (613~696) understanding of Yogācāra theory, focusing on the theories of Buddha-Nature and seed-nature. These two Silla scholar monks ―the most representative East Asian philosophers in the seventh century ―seemed to have had no opportunity to meet each other, even when they lived in the same country: no trace of influence or quotation from each other can be found throughout their literature. However, they show significant similarity considering that they share many commonalities in philosophy such as their theories on corpus of doctrine, doctrinal taxonomy, mind and consciousness, Buddha-Nature, and practice. In particular, the theories of Buddha-Nature and Seed-Nature they both focused on have developed into theories of attaining Buddhahood and the Buddhist practice, which became the two distinguishing issues in Buddhism. They both appreciated the philosophies of their era, but in terms of the theory of Buddha-Nature and the theory of Seed-Nature, they adhered to their own opinions, which differ from Paramārtha and Xuanzang’s theories.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y tried to establish a theory explaining that unenlightened beings and enlightened beings are not dual. Both Wonhyo and Wonchuk appreciated all the Buddhist theories in their era under the concept of the One Mind or One Vehicle, which are different names for the Middle Way that is the core ideology of Buddha’s teaching. Wonchuk discussed the theories of Buddha-Nature and Seed-Nature on the basis of the ideology of the One Vehicle. His understanding of the One Vehicle was the Buddha vehicle and dharmakāya; and he summarized the Buddhist philosophies of his era in three points. First, the meaning of Paramārtha’s theory of Buddha-Nature is that it is three vehicles as skillful means within one vehicle in reality. Second, the distinction of Xuanzang’s five Seed-Natures is that various Seed-Nature is one vehicle as a skillful means, but three vehicles in reality. Third, reconciling these two perspectives leads to the ideology of the One Mind. Wonchuk considered the true original core of all things to be Buddha-Nature with two facets: essence and function. He then established the essence aspect of B
目次Ⅰ. 서언 78

Ⅱ. 유식학에서 불성론과 종성론: 一乘과 一心 80

Ⅲ. 원측의 불성론과 종성론 이해: 一乘과 眞如의 會釋 87

Ⅳ. 원효의 불성론과 종성론 이해: 一心과 佛性의 和會 100

Ⅴ. 중도 구현, 성불론과 수행론의 지형 126

Ⅵ. 결어 130
ISSN25863843 (P)
點閱次數87
建檔日期2024.01.07
更新日期2024.01.0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9080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