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청허 휴정(淸虛休靜) 선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 ― 일물(一物)에 담긴 깨달음에의 실천적 위상(位相)을 중심으로=Characteristic and Uniqueness of Cheongheo Hyujeong(淸虛休靜)’s Seon(禪) Thought - Focusing on practical status of enlightenment contained in One-Thing(一物)
作者 오용석 (著)=Oh, Yong-suk (au.)
出處題名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卷期v.9 n.0
出版日期2021.10
頁次105 - 142
出版者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出版者網址 http://www.duwbs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원광대학교
關鍵詞선정겸수; 사교입선=Relinquishing Gyo and Entering Seon; 깨달음= enlightenment; 실천적 위상=practical status; 일물=One-Thing; 청허 휴정=Cheongheo Hyujeong; the combined cultivation of Seon and Pure Land
摘要본 논문은 청허 휴정 선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을 일물에 담긴 깨달음에의 실천적 위상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여기서 위상은 ‘어떤 사물이 다른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가지는 위치나 상태’를 의미한다. 청허 휴정은 일물을 통해 그의 선사상과 깨달음에의 실천적 위상을 드러내었는데 이를 크게 사교입선과 선정겸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휴정의 사교입선과 일물의 관계를 통해 휴정의 일물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였다. 즉 휴정의 일물은 우리의 본원진심을 묘사하기 위한 추상적 용어 혹은 선과 교를 통합하기 위한 중도적 교의를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경절의 활구를 통해 직접적인 선의 체험 즉 견성성불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위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휴정의 선정겸수과 일물의 관계를 논술하였다. 기본적으로 휴정은 선과 염불이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는 선과 염불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서라기보다 선의 입장에서 염불을 포용할 것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관계속에서 휴정의 일물은 선의 입장에서 염불을 참선으로 승화시킨 염불공안으로 제시되었다. 즉 휴정의 염불은 선과 만나 참구의 염불이 되고, 다시 자심의 정토를 깨닫는 실상염불을 지향한다.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 and Uniqueness of the Cheongheo Hyujeong’s Seon Thought, focusing on the practical status of enlightenment contained in One-Thing. Here, status means ‘the state that an object has in relation to another object’. Cheongheo Hyujeong revealed his Thought of Seon and practical status of enlightenment contained in One-Thing that I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Relinquishing Gyo(敎) and Entering Seon and the combined cultivation of Seon and Pure Land(淨土). First, I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nquishing Gyo and Entering Seon and One-Thing, and through this, I coul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jeong’s One-Thing. In other words, the works of Hujeong are not limited to abstract terms to describe our One’s original Buddha-nature or to express The Middle Way to integrate Seon and Gyo, but have a status of revealing the importance of direct experience of Seon, that is, to penetrate one’s mind is to become enlightened through the Living Phrase(活句) of shortcut expedient.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bined cultivation of Seon and Pure Land and the One-Thing of Hyujeong was discussed. Hyujeong thought of that Seon and to meditate on the Buddha were not different. However, this is not to eliminate the difference between Seon and to meditate on the Buddha, but rather emphasizes the embracing of to meditate on the Buddha from the point of view of Seon. In particular, the work of Hujeong presented in this relationship was presented as to meditate on the Buddha with kung-an(公案) that sublimated to meditate on the Buddha into Seon from the point of view of Seon. In other words, to meditate on the Buddha meets Seon and becomes to meditate on the Buddha of Penetration(參究), and aims to become the One’s own original nature that realizes the Pure Land of Buddha-nature again.
目次Ⅰ. 들어가는 말 106

Ⅱ. 청허 휴정 관련 선행연구와 휴정의 일물(一物) 110

Ⅲ. 사교입선(捨敎入禪)과 일물(一物) 116

Ⅳ. 선정겸수(禪淨兼修)에 나타난 일물(一物) 123

Ⅴ. 나가는 말 134
ISSN25863843 (P)
點閱次數33
建檔日期2024.01.07
更新日期2024.01.0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9082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