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이고의『復性書』에 나타난 선종의 영향=Influence of Chan Buddhism in Fuxingshu by LiAo
作者 류화송 (著)=柳花松 (au.)
出處題名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卷期v.95 n.0
出版日期2023.03
頁次259 - 286
出版者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wth.or.kr
出版地Iksan-si, Korea [益山市,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충남대학교 시간강사(rhsnanjing@hanmail.net)
關鍵詞복성서=復性書=Fuxingshu; 유불융합=儒佛融合=Interpenet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육조단경=六祖壇經=Platform Sutra of the Six Patriarch; 이고=李翶= LiAo; Zhongyong=중용=中庸; 양숙=梁肅= LiangSu; 천태지관통례=天台止觀通例= TianTaiZhiGuanTongLi; YaoShanWeiYan=약산유엄=藥山惟儼
摘要본 논문에서는 이고의 생애와 그가 찬술한 『복성서』의 사상과 선종과의 관계를 논하였다. 이고의 사상형성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준 이는 바로 양숙(梁 肅)이다. 양숙은 형계담연(荊溪湛然)으로부터 천태학을 사사하였는데, 그가 찬술한 『천태지관통례(天台止觀統例)』에는 유학과 천태학의 융합이 두드러진다. 특히 『천태지관통례』에서는 천태학의 ‘지관(止觀)’과 『중용(中庸)』의 ‘중도(中道)’ 를 융합하여 ‘복성명정(復性明靜)’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복성’의 사상을 계승한 것이 바로 『복성서』라고 할 수 있다. 『복성서』는 유학의 ‘성명(性命)의 도’를 회복하고자 찬술하였는데, 이를 성정(性情)의 관계로부터 논하고 있다. 성(性)은 성인이 될 수 있는 근거이고, 정(情) 은 인간을 타락시키는 망령된 것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망정(妄情)이 멸식(滅息)된다면 바로 ‘성’을 회복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복성’의 논리를 전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망정의 멸식의 과정은 『중용(中庸)』에서 강조하는 지성(至誠)으로 규정하고, 이를 성취함을 ‘복성’으로 삼았다. 『복성서』의 이러한 논리는 양숙의 『천태지관통례』를 계승한 점이 분명하지만, 양숙이 천태학과 『중용』을 융합시키는 것과는 다르게 이고의 『복성서』는선종의 『육조단경』의 선사상과 융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복성서』와 『육조단경』을 비교하여 밝혔다.

In this thesis, the life of LiAo (李翶)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ought of Fuxingshu (復性書) written by him and the Chan sect were discussed. LiangSu (梁肅) was the one who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LiAo's thought. LiangSu studied Tiantai studies from Jingxizhanran (荊溪湛然), and the fusion of Confucianism and Tiantai studies stands out in the TianTaiZhiGuanTongLi (天太止觀統例) written by him. In particular, TianTaiZhiGuanTongLi suggests 'Fuxingmingjing (復性明靜)' by combining 'Zhiguan (止觀)' of Tiantai and 'Middle Way(中道)' of Zhongyong (中庸). It can be said that Fuxingshu succeeded to this idea of 'Fuxing (復性)'. Fuxingshu was written in an attempt to restore the Confucianism's 'Way of Xingming', and it is discussed from the relationship of Xingqing (性情). Xing (性) is the basis for becoming an noble man, and qing (情) is set up as a specter that corrupts humans. It develops the logic of 'Fuxing' by emphasizing that 'Xing' can be restored immediately if the delusion disappears. And the process of extinction of such delusion was defined as Zhicheng (至誠) emphasized in Zhongyong (中庸), and achieving it was regarded as 'Fuxing'. It is clear that this logic of Fuxingshu inherited LiangSu's TianTaiZhiGuanTongLi, but unlike LiangSu's fusion of Tiantai and Zhongyong, LiAo's Fuxingshu is the Chan thought of Chan sect's Platform Sutra of the Six Patriarch. Therefore in this paper it was revealed by comparing Fuxingshu with Platform Sutra of the Six Patriarch.
目次I. 머리말 260

II. 이고의 생애와『복성서』의 복성론 262
III『. 복성서』와선종의관계 275

IV. 맺음말 283
ISSN17381975 (P)
點閱次數59
建檔日期2024.02.25
更新日期2024.02.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9395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