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원불교 사은의 유교적 연원, 특히 『주역』적 연원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원불교 교리에서는 신앙과 수행의 대상인 법신불 일원상에 대한 신앙의 방법으로 사은을 제시하고 있다. 원불교에서 사은은 주로 그 연원과 내용을 주로 불교적 입장에서 연구하였다. 원불교 교리가 지향하고 있는 목표가 유불도 삼교를 회통하는 사상이기 때문에 사은의 해석 방향도 유교적 사유의 도입이 필요하다. 일부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지만 『주역』을 중심으로 한 내용은 보다 많은 보강이 필요하기에 본 연구의 의의는 『주역』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제2장에서는 사은의 내용과 기존의 불교적 연원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원불교 사은의 의미가 제대로 드러나기 위해서는 『주역』적 연원이 필요하다는 논의를 하였다. 제3장에서는 원불교 교리에 들어 있는 『주역』사상을 고찰하였다. 소태산의 대각에 관한 기록에서 직접 『주역』의 문장이 등장하고 있으며,『대종경』에서는 『주역』의 근본 개념인 태극·음양·인의(仁義)·천지인 삼재지도(三才之道) 등을 통해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일원상의 진리는 도의 본체로 허무적멸이라 하고, 사은은 도의 작용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와 직접 연결시키고 있다. 제4장에서는 『주역』의 인예의지 사덕(四德)의 내용을 고찰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원불교 사은과 연결시켰다. 즉, 인(仁)은 부모은·예(禮)는 동포은·의(義)는 법률은·지(智)는 천지은과 내용상 일치하고 있으며, 천지은과 부모은을 하감(下鑑)으로, 동포은과 법률은을 응감(應感)으로 밝힌 것도 인과 지를 성(性)으로, 예와 의를 명(命)으로 논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다. 또 소태산의 대각에 언급된 중천건괘(重天乾卦) 문언의 문장도 인의예지로 해석되어, 사덕과 사은이 연결되고 있다.
目次
Ⅰ. 시작하는 말 8 Ⅱ. 원불교 사은 개념의 연원과 내용 검토 10 Ⅲ. 원불교 교리와 『주역(周易)』사상 13 Ⅳ.『 주역』의 사덕(四德)과 원불교 사은(四恩) 20 Ⅴ. 맺음말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