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낙태죄 처벌 헌법불합치 결정과 원불교 생명윤리 - 태아의 생명권과 靈識을 중심으로=Constitutional Nonconformity Decision on Illegal Abortion and Won -Buddhism’s Bioethics : Focused on the right to life and soul-consciousness of fetus |
|
|
|
作者 |
염승준 (著)=Yeum, Sung-jun (au.)
;
김영전 (著)=Kim, Young-jon (au.)
|
出處題名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卷期 | v.83 n.0 |
出版日期 | 2020.03 |
頁次 | 113 - 141 |
出版者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出版者網址 |
http://www.wth.or.kr
|
出版地 | Iksan-si, Korea [益山市, 韓國] |
資料類型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使用語言 | 韓文=Korean |
附註項 | 저자정보: 염승준: 원광대학교 교학대학 원불교학과 조교수(kant@wku.ac.kr) 김영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조교수(youngjonkim77@wku.ac.kr) |
關鍵詞 | 원불교=圓佛敎=Won-Buddhism; 낙태죄= Abortion; 영식=靈識; 여성의 자기결정권=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Women; 태아의 생명권=The right to life of fetus |
摘要 | 본 연구는 낙태죄 헌법 불합치 결정의 문제를 분석하고, 낙태와 여성 그리고 영식의 문제를 원불교적 근거로 해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요지에서 주목할 내용은 태아의 독자적 생존기간을 반영한 ‘결정가능기간’과 여성의 낙태 결정 과정의 ‘전인적(全人的) 결정’의 반영이다. 본 연구는 판결의 내용을 ‘태아의 생존권 제한’의 입장에서 논증하였다. 그리고 원불교의 영식(靈識)의 개념과 내용을 활용하여 ‘제한 없는 태아의 생명권’ 수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여성의 측면에서는 임신한 여성의 전인적 결정에 언급된 사회적 불평등을 침묵하고 있는 상황을 지적하며, 여성의 입장에서 성평등의 교리를 재정립할 것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낙태죄 처벌 헌법 불합치 결정과 관련하여 생명권과 여성의 인권과 관련하여 향후 고민해야 할 과제를 제언한다. |
目次 | I. 머리말 114 II.헌법 불합치 결정의 요지와 문제 116
III. 원불교 영식(靈識)과 태아 그리고 여성 120 IV. 맺음말 ― 원불교 생명윤리의 과제 134
|
ISSN | 17381975 (P) |
點閱次數 | 84 |
建檔日期 | 2024.06.12 |
更新日期 | 2024.06.12 |


|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