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判批量論』 제10절 심식 논변 고찰 - 법상종 해석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An Examination of the 'Mind and Consciousness Debate' in Section 10 of the Critical Discussion of Inference - A Focus on Critiques of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s Interpretation
作者 김태수 (著)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109
出版日期2024
頁次153 - 182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關鍵詞판비량론=Critical Discussion of Inference; 원효=Wonhyo; 소의=basis; 소의근=faculty serving as the support; 알라야식(제8식)=Alaya-Consciousness (ālaya-vijñāna eighth consciousness); 마나식(제7식)=manas (seventh consciousness); 성유식론=Vijnaptimātratāsiddhi-Śāstra
摘要본고는 『판비량론』 제10절에서 “알라야식과 마나식은 구유소의(俱有所依)와 구유소의근(俱有所依根)을 가진다”는 『성유식론』 주장에 대한 원효의 비판을 검토한다. 제10절에서는 5개의 추론식을 제시하며, 상대의 오류를 드러내고자 이유 구를 교체하여 상위결정, 유법차별상위를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주 논의는 “제8식이 식의 성질이므로 구유소의를 가진다”(논증식 1)와 “제8식은 근본이므로 구유소의를 갖지 않는다”는 주장(논증식 2)을 비교한 후, “제7식과 제8식에는 구유소의근이 없다”라고 원효의 주장(논증식 3)을 제시하는 형태다. 이때 심소법, 소의와 소의근 문제를 근거로 활용한다. 또 논거 강화를 위해 의근, 제6식과 심‧심소 관계를 설명하는 논증식 4와 의근에 관한 현장 계열 주장의 의미론적 역설을 드러내는 논증식 5를 추가한다. 원효의 핵심주장인 세 번째 비량(논증식 3)에 따르면, 소의근은 제6식의 성질에 해당하지만, 더 의지할 근이 없어서 능연의 성질이 없다. 알라야식에도 소의가 있지만, 근에 의지하는 제6식의 성질과 달리 더 의지할 소의근이 없다. 심소법과 같이 법처에 포함된 것들도 근에 의존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소의근은 6식성의 범위 내에서 주연 범위가 가장 작아 그보다 넓은 범위를 가진 심소나 7‧8식과 관련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나식과 알라야식에는 구유소의근이 없다. 이와 같이 원효는 초기 저작에서부터 주목한 구유소의와 소의근 문제를 중심으로, “마나식은 구유소의근에 의존하며, 알라야식은 마나식을 구유소의로 삼아야 한다”는 법상종 해석의 논리적‧의미론적 오류를 다면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This paper scrutinizes the logic and implications of Wonhyo's critique of Vijnaptimātratāsiddhi-Śāstra's discussion presented in section 10 of Critical Discussion of Inference, arguing that "Alaya-consciousness and manas have bases, with faculties serving as shared bases." The section 10 introduces five syllogisms employing techniques like modifying the reason clause to generate different yet valid reasons leading to contradictory conclusions (viruddhaavyabhicārin), and illustrating the contradiction of a specific subject aspect (dharmiviśeṣaviparītasādhana) to reveal opponents’ errors. The central debate contrasts "the eighth consciousness has shared bases due to inherent characteristics in consciousness" (Argument 1) with "it lacks shared bases because they are fundamental" (Argument 2). This is followed by Wonhyo's assertion: “the seventh and eighth consciousnesses lack faculties serving as shared bases” (Argument 3). The arguments revolve around mental factors, basis, and its faculty. To reinforce his argument, he introduces additional inferenc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s, sixth consciousness and mind-mental factors (Argument 4), and the semantic paradoxes of Xuanzang lineage’s claim about manas (Argument 5). Wonhyo’s core argument, Argument 3, asserts that the faculty serving as support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th consciousness, but it lacks subjectively apprehending character due to the absence of further supporting faculties. Alaya-consciousness also has a support but lacks a base-serving faculty to rely on. Things included in the dharmāyatana, such as mental factors, do not depend on faculty either. Similarly, the base-serving faculty has mininal pervasion within the six consciousnesses and doesn’t relate to the mental factors or the 7th and 8th consciousnesses, which have a wider range. Therefore, there is no faculties serving as shared bases in the manas and Alaya-consciousness. Likewise, Wonhyo reveals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s interpretation errors in a comprehensive manner, focusing on issues pertaining to the shared basis of the eighth consciousness and the faculties of the seventh and eighth consciousnesses.
目次Ⅰ. 서론 155
Ⅱ. 판비량론 제10절 심·의·식 논의의 배경: 성유식론의 해당 논점 158
Ⅲ. 상위결정 부정과를 통한 성유식론 논의 비판(논증식 1, 2) 160
Ⅳ. 원효의 논변: 원효의 논리적 논증 165
Ⅴ. 결론: 현장 유식에 대한 원효 논변의 평가 175
참고문헌 179
ISSN12250945 (P)
點閱次數112
建檔日期2024.09.06
更新日期2024.09.0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70318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