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17세기 유학자의 불교인식 변화=A Confucian Scholar's Changing Perception of Buddhism in the 17th Century
作者 이종수 (著)=Lee, Jong-su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37 n.0
出版日期2012
頁次257 - 293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HK 연구교수
關鍵詞불교정책=Buddhist policy; 승려문집=an anthology of Buddhist priests; 승려비문=an epitaph of Buddhist priests; 승군제도=the priest-army policy; 의승군= the righteous army of Buddhist priests
摘要본고는 임진왜란 이후 불교에 대한 국가 정책이 변화되었던 점에 주목하여 17세기 유학자의 불교인식 변화를 살펴본 논문이다. 유학자의 불교인식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16세기 대표적인 유학자라고 할 수 있는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불교관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퇴계와 율곡은 배불적 견해를 일관되게 유지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들의 불교관은 당시 유학자들의 보편적인 불교관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런데 16세기 후반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전국의 승려들이 칼과 창을 들고 궐기하여 목숨을 걸고 국왕을 지켜내었다. 무부무군(無父無君)의 도(道)라고 비판하였던 불교가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국왕에게 충성하는 모습을 지켜본 유학자들은 임진왜란이 지난 후 승군제도를 통해 승려의 신분을 보장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에 대해서도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유학자의 불교인식 변화는 승려문집의 서문이나 비석의 비문을 유학자들이 써 주었던 것에서 확인된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17세기 14명의 유학자가 쓴 17개의 승려문집과 18명의 유학자가 쓴 31개의 서문이 있는데, 중복되는 인원을 빼면 총26명의 유학자의 글이 남아 있다. 이것은 임진왜란 이전에 유학자가 쓴 문집서문이나 비문이 없었다는 점에 비추어보면 유학자의 불교인식이 크게 변화했다고 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This study concerns a Confucian scholar's changing perception of Buddhism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d Buddhist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 from the post-Imjin War period. To analyze a common understanding of Buddhism of Confucian scholars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two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f the 16th century, Yi Hwang and Yi Yi, have been brought to the center of examination. Through this process, it is verified that they consistently held a negative view of Buddhism. And it is possible to regard their thought as a universal perception of Buddhism at the time. However, when Japan invaded the Joseon Dynasty at the end of 16th century, Buddhist priests from all around the country spontaneously fought against the invaders and defended the country. Confucian scholars, who had accused Buddhist priests of desolating their parents and the lord, started to change their thoughts after witnessing Buddhist priests sacrificing their lives for the country. After the Imjin War, Confucian officials guaranteed their social status as a Buddhist priest by adopting the priest-army policy and even held a benevolent attitude toward Buddhists. This change in the perception can be verified by examining introductions of Buddhist priests' anthology or epitaphs which were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Currently existing works of those kinds are, as a whole, 48 copies; 17 Buddhist anthologies written by 14 Confucian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31 introductions by 18 Confucian scholars. After removing overlapping works of the same author, there are 26 scholars’ introductions existing now. When one considers the fact that there were none of introductions or epitaphs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before the war, this fact could prov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Confucian scholars' perception of Buddhism in the 17th century.
目次1. 머리말 260

2. 16세기 억불과 유학자의 불교인식 262
3. 17세기 승군제도의 정착 273

4. 유학자의 승려에 대한 태도 변화 279
5. 맺음말 288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2..37.007
點閱次數64
建檔日期2023.01.31
更新日期2023.01.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353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