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율장을 통해 본 主佛殿의 장엄과 기능에 대한 재해석=Reinterpretation of the Decoration and Functions of Buddha's Central Hall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Vinaya=

作者 송법엽 =Song, Bub-yub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29 n.0
出版日期2018.06
頁次349 - 381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겸임교수
關鍵詞불탑=Buddha'sutpa; 장엄; 건축=construct; 불전; 불화=Buddhist paintings; 정토=pure land; 포교=propagation; 교육=education; 기능=function; 해석=interpretation; Buddha's central hall
摘要인도에서는 건축물에 대한 장엄이 여러 부분에서 행해졌고 불교에 수용되면서 불탑과 불전 및 사찰의 다른 건축물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불전의 장엄에서도 세존께서 교화하시던 빠른 시기에 이미 성립되고 있고 율장에서는 다양한 불교미술의 장엄을 사용한 내용이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장엄들은 세존께서 교화하시던 때부터 불전이 신행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의례는 대부분이 불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에서는 불전이 창건되면서 여러 장엄이 발전되고 있고 건축양식과 불교회화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렇지만 현존하는 사찰은 대체적으로 임진왜란 이후에 건축되었으므로 이전 시대의 장엄에 나타났던 특징을 많이 확인할 수는 없다. 주불전의 본래 목적은 예경의 의례를 통한 수행과 기복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었으나 조선후기에 이르면 포교와 교육공간을 총괄하는 기능을 갖추게 되었고 제한된 공간에 여러 교학의 상징성을 추가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과 기능에서 건축적 장엄과 불화의 장엄이 조합되어 세존의 가르침을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교육과 포교의 체계를 갖추었으며 주불전은 조화와 통합이 유기적으로 체계화된 상징성으로 귀결되어 불보살의 세계를 표현하는 역할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 주불전의 장엄은 시대의 생태를 쫓아서 본래의 목적인 의례에서 더 나아가서 포교 및 교육공간을 총괄하는 역할로 발전되면서 미학적인 감각을 통합시켰고, 그 당시에 발달하였던 교학을 바탕으로 경전을 재해석하여 불보살의 세계인 정토를 현재의 이곳에 구현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현실에서 불보살들의 정토를 상징하는 장엄을 완성하고 있었다.

In India, decorations for architecture have been routinely done and expanded to Buddhist pagodas and other structures of the Buddha's central hall and temples. The decoration of the Buddha's central hall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t the earliest times of Buddhism, and the use of various Buddhist art decorations is said in the Qing dynasty. These ornaments are the center of faith and practice of Buddha 's hall from the time of Buddhism, and consciousness is mostly centered on the sutpa. In Korea, as the space of Buddha was created, various decorations were developed, and it was developed around architecture style and Buddhist painting. However, since the existing temples were buil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general, it is impossible to confirm many characteristics of the decoration of the previous period. The main purpose of the main Buddha's central hall was to carry out the ceremonial ceremony and the meaning of the patriarchy. However,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had the function of supervising the mission and education space and added the symbolism of the plural teaching to the limited space. In these roles and functions, the combination of architectural decoration and Buddhist decoration combines to form a system of education and proscription that can easily and quickly deliver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he spaces of the main Buddhas result in symbolism that harmonization and integration are organically organized, And to express the world of Buddha and Bodhisattva. Therefore, the decorations of the main Buddhist pla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ursued the ecology of the times and developed into a role to take charge of the missionary education and the space for the mission and to integrate the aesthetic senses. Based on the texts developed at that time, Interpreted and tried to realize the world of Buddhahood in the present place, and in reality embodies the decoration symbolizing the pure land of Buddha and Bodhisattvas.
目次I. 서론 351

II. 주불전 장엄의 형식 352
III. 율장에 나타난 장엄 355
1. 건축의 장엄 355
2. 회화의 장엄 359
IV. 장엄과 기능에 대한 재해석 362
1. 의례공간 장엄의 해석 362
2. 포교와 교육공간 장엄의 해석 369
3. 현세에서의 정토의 완성 373
V. 결론 375
ISSN12291846 (P)
DOIhttp://doi.org/10.35299/jungto.2018.29..008
點閱次數93
建檔日期2023.03.27
更新日期2023.03.2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70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