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佛敎 敎學史의 측면에서 본 阿羅漢의 位相과 信仰의 樣相=Aspect of Status and Faith of Arahan in Perspective of Gyohaksa Buddhism
作者 최경만 (著)=Choi, Jeong-in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26 n.0 나한신앙과 역사
出版日期2016.12
頁次85 - 128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 교수.
關鍵詞아라한=阿羅漢=Arahan; 삼명=三明=trionym; 육신통=六神通=six supernatural powers; 보살=菩薩=Bodhitsattva; 수도론=修道論=theory of ascetic; 구제론=救濟論=theory of relief; 나한재=羅漢齎=Rahanjae; 사선=四禪=four stages of Tao; 교화방편=敎化方便=reformation methodology; 대승=大乘=Mahayana; 성문=聲聞=; 응공=應供; 고승=高僧; 복전=福田=field of blessings; 전각=殿閣=royal palace; arhat; disciples
摘要대승의 보살승 입장에서는 아라한을 성문승(聲聞乘)의 깨달음이라 하여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원시 불교시대에 아함경과 소승율장에서는 아라한을 수행의 최고 경지에 도달한 자로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또한 부처님께서 아라한과를 증득하시자, 많은 제자들이 스스로 부처님께 귀의하는 과정을 아함경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라한과의 수행과정을 수도론(修道論)과 구제론(救濟論)으로 나누어 보았는데, 수도론적 입장에서는 청정한 도덕적 행위를 수반한 아라한의 수행과정 최종 단계까지를 살펴보았다. 구제론적 신앙 입장에서는 삼명(三明) 육신통(六神通)을 전법(傳法), 홍법(弘法)의 방편(方便)으로 중생 교화를 위하여 묘용(妙用)을 보여주었음을 고승들의 위신력을 문헌 자료와 야사(野史) 자료에서 찾아보았다. 그리고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왕실들이 부국강병과 태평성대를 발원하는 아라한적 신앙의 성격을 간단하게 살펴보고, 도표로 정리하였다. 아라한 신앙이 불교 도입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음을 발원의 내용과 현 제가신도들의 신앙적 정서에서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아라한 신앙은 아라한의 본질인 응공(應供)에서 감응(感應)으로서 복전(福田)까지 이어진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Mahayana Buddhism perceives Arahan with a critical view by defining Arahan as a enlightment of Seongmunseung. However, in Ahamgyeong anad Soseungyuljang in the ancient Buddhism period considers Arahan very importantly as a person who has reached the tip of asceticism. Also Ahamgyeongjeon describes that when Buddha is enlightened by Arahangwa, many disciples convert themselves into Buddha. This paper divided ascetic practice into a theory of ascetic and theory of relief. In the aspect of theory of ascetic, it also examined the final stage of ascetic of Arahan which accompanied pure ethical action. In the aspect of relief faith, it is found in the reference materials and unofficial historical resources that highest monks had dignity power which effectively used trionym and six supernatural powers for reformation of people by using measures such as “delivering doctrine” and “roadly spreading doctrine.” Throughout various sources and the current faith of Jegashindo, it is sought that Arahan faith is continued from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until today. This is because Arahan faith has a belief that the essence of Arahan is connected from arhat to response and finally to field of blessings.
目次I. 들어가는 말 87

II. 최초 아라한의 위상 88
1. 아라한 석가모니 88
2. 신통을 보이시다 90
3. 비구니 아라한 96
III. 아라한의 수도론적·구제론적 개념 97
1. 수도론적 아라한 97

2. 구제론적 아라한의 신앙 103
IV.나가는말 122
ISSN12291846 (P)
點閱次數73
建檔日期2023.03.29
更新日期2023.03.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87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