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청도 운문사의 나한신앙 고찰=A Study on Buddha’s Disciples of the Cheongdo Unmunsa Faith
作者 박순천 (著)=Park, Soon-chun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26 n.0 나한신앙과 역사
出版日期2016.12
頁次163 - 194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운문사 학장스님. 동국대 강사.

關鍵詞아라한=Arahat; 보살=Bodhisattva; 초기불교=Early Buddhism; 부파불교=Nikāya Buddhism; 대승불교=Mahāyāna Buddhism; 16나한=16 Arahat; 500나한=500 Arahat; 운문사=Unmunsa Temple; devotion to Arahat=나한신앙; 중생구제=salvation of sentient beings
摘要아라한은 초기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십대명호 가운데 하나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후 모든 수행자의 이상적인 수행자상으로서 인식되었다. 부파불교의 수행자들은 바로 이 아라한이 되기 위해 수행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동북아시아 전통에서는, 다시 말해 대승 불교권 에서는 아라한의 위상을 크게 끌어내려 희화화하거나, 아니면 복을 구하는 신앙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나아가 나한신앙이 꽃을 피운 중국에서는 도교와 결합되어 신선처럼 묘사되거나, 선종의 조사가 나한으로 모셔지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나한은 신앙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졌다. 엄숙하고 근엄하며 자애로운 전형적 제불 보살과는 달리 인간의 성냄과 웃음, 때로는 욕구마저도 긍정하는 나한의 모습에서 원초적인 양재초복(攘災招福)의 기도 마음이 깃들어 있다. 이러한 나한신앙이 우리나라에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부터이다. 나한전에 모셔진 아라한은 일반적으로 16나한이며, 많게는 500나한을 모시기도 하는데, 그 전각을 응진전이라고 한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오백전, 팔상전, 독성각, 천태각이라고도 한다. 본 논문은 특히 청도 운문사의 나한신앙의 특징을 고찰하고, 오늘날 나한신앙의 바람직한 내용과 형식을 논의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먼저 ‘나한 신앙의 유래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인도에서 중국, 한국으로 전래되는 과정에서 나한이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라한이 보살의 성격을 가지면서, 나한 신앙이 형성 발전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운문사가 창건된 이래 나한신앙의 중심 도량으로 발전되어 온 역사적 과정을 고찰하였다. 운문사 창건과 함께 오백전이 건립되고, 이후 1960년대에 청도읍 적천사에 모셔져 있던 500나한을 운문사 오백전에 이운해 온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아울러 나한기도를 통한 영험담을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운문사가 창건 된 이래, 나한신앙의 중심도량으로서 존재해 온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그 해답으로서 조선시대 이후 왜곡된 나한 신앙의 본래 모습을 찾는 것, 즉 개인적인 복을 비는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인 중생구제와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고, 부처님의 정법을 수호하는 중심도량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n arahat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Buddha's ten names in Early Buddhism. Since then, it has been known for an idealistic model for all of the practitioners. Being an arahat was the very purpose for the practitioners of Early Buddhism. However, in the tradition of the northeast Asia or in another words, in Mahayana Buddhism, the status of an arahat was caricatured or was accepted as a religious figure to gain one's merit. Furthermore, in China where the belief in arahats is popular, it was fused with Taoism so Taoist hermit was depicted as an arahat or one of the previous sages of Zen Buddhism was regarded as an arahat. Even in Korea an arahat was a religious figure. Unlike all of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who are typically solemn, serious, and benevolent, an arahat who seems to acknowledge humans' anger, laugh, and sometimes even desires can be viewed to chastise evil spirits and bring fortune. It is since Koryo era that this type of belief in arahats has become popular in Korea. The number of the arahats at the Hall of Arahats ranges from 16 to 500 and there are some other names given for this Hall of Arahats such as Eungjinjeon, the Hall of 500 Arahats, the Hall of Eight Phases, the Hall of the Hermit Sage. The features of arahats in Cheungdo Unmunsa will be covered in this thesis and it is also aimed to discuss the advisable contents and form of the belief in arahats, To do that,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Belief in Arahats’ is examined in the second chapter. It will be contemplated how arahats have been changed in the course of the introduction of arahats from India to China and Korea. As a result, the nature of arahats contains the spirit of Bodhisattvas and it can be confirmed to have caused to develop an arahat into a religious figure. In the third chapter, the historical process how the belief in arahats in Unmunsa has become the main stream ever since its foundation is examined altogether. The Hall of 500 Arahats was established in company with the foundation of Unmunsa and after that, the fact about the transportation of 500 arahats from Jeokcheonsa in Cheongdo town to the Hall of Arahats in Unmunsa in the 1960’s is illuminated. Additionally some brief stories of spiritual miracles were introduced. Those argumenta of this thesis mentioned above will cast a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the Unmunsa serving mainly as the mainstay of the belief of arahats and some solutions are proposed in this thesis how to restore the distorted features of the belief in arahats since the Joseon era; Instead of praying for one’s merits individually, it should be the Bodhi-mandala, sacred place used as a seat where the manda (essence) of enlightenment is present or practiced, to wish for the relief of all the sentient beings and well-being of the nation as well as to guard the Buddha’s t
目次I. 서론 166
II.나한 신앙의 유래와 특징 168
1. 나한신앙의 유래 168
2. 나한신앙의 특징 172
III. 운문사의 나한신앙 175
1. 운문사의 창건유래 175

2. 오백전과 오백나한 기도 유래 177

3. 오백전 오백나한 기도·공양 181

4. 운문사 오백나한은 곧 운문사 학인 181
5. 사리암의 유래와 나한신앙 182
1) 사리암 나반존자는 누구인가? 183
2)영험(靈驗)이란 무엇인가? 186
IV. 결론 189
ISSN12291846 (P)
點閱次數84
建檔日期2023.03.29
更新日期2023.03.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89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