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청대 팽소승(彭紹升)의 화엄염불론과 법신설=Huayan Pure Land Theory and the Theory of Dharma-body by Peng Shaosheng During the Qing Dynasty
作者 김영진 (著)=Kim, Young-jin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33
出版日期2012.12
頁次77 - 119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內容註
關鍵詞팽소승=彭紹升=Peng Shaosheng; 정토법문=Pure Land; 화엄사상=the philosophy of Huayan School; 법신설=Dharma-body; 아미타불=Amitabha; 비로자나불=Vairocana
摘要중국불교에서 정토법문은 다른 불교 전통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결합한다. 이런 교류와 결합을 통해서 새로운 이론과 전통이 출현하기도 한다. 다른 시대에 비해 불교 연구가 미약하다고 평가되는 청대(淸代) 에 정토법문만은 크게 발전한다. 팽소승같은 거사는 정토법문과 화엄사상의 관련에 주목하고, 두 전통의 연대를 모색한다. 그는 『화엄경』이 정토법문을 지향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때 팽소승은 화엄학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법신 개념을 응용한다. 그는 정토법문에서 주로 거론하는 아미타불이 아니라 법신불인 비로자나불을 주된 염불수행의 대상으로 삼는다. 아울러 염불수행을 통해서 지향하는 것은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극락이 아니라 비로자나불이 언제나 존재하는 법계 혹은 화장세계임을 말한다. 이는 극락왕생의 공간을 미래의 다른 세계가 아니라 현재의 이 세계로 돌려놓는 역할을 했다.

In Chinese Buddhism, the Pure Land teachings actively interacted and were integrated with other Buddhist traditions. At times, new theories and traditions emerge through these exchanges and integrations. During the Qing dynasty, a period in which Buddhism was viewed a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other historical periods in China, the Pure Land teachings managed to develop substantially. Peng Shaosheng, a householder and scholar of Buddhism of Qing Dynasty,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e Land teachings and the philosophy of the Huayan School and sought solidarity between the two traditions. He argued that the Huayan Jing, meaning the Flower-adorned Sutra, is oriented toward Pure Land teachings. In so doing, he employed the concept of Dharma-body that emerged prominently in the Huayan School. In lieu of Amitabha that was often brought up in Pure Land Buddhism, he used Vairocana as the object of Buddhist recitation practice. Also, he said that the goal of the Buddhist recitation practice was not to reach the Pure Land in which Amitabha resided, but the Dharmadhatu or the Lotus Treasury World in which Vairocana always existed. This line of thought played the role of seeking the space of peace and happiness not in the other world that exists in the future, but in this world of the present.
目次I. 머리말 80
II. 팽소승과 명말 정토법문 82
III. 화엄염불론과 보현행원 90
1. 화엄염불론의 연원과 그 성격 90
2. 보현행원품과 극락왕생 96
IV. 법신염불과 법계정토의 구상 100
1. 법신염불과 자성미타 100
2. 법계정토와 비로자나불 107
V. 결론 113
ISSN15980642 (P)
點閱次數175
建檔日期2021.05.28
更新日期2021.05.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565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