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초기불교와 대승불교 -- 단절인가, 계승인가?=Between Early Buddhism and Mahāyāna -- Is there a Gap or a Succession?
作者 김성철 (著)=Kim, Sung-chul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50
出版日期2017.03
頁次1 - 26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內容註
關鍵詞대승=Mahāyāna; 대승장엄경론; 위경; 뗄마; 보살=Bodhisattva; 타방불토; 법공; Early Buddhism; Mahāyāna-sūtrālamkāra-śastra; gTer Ma; Buddha’s Land; emptiness
摘要대승불전이 석가모니 부처님의 직설인지 여부에 대한 의문은 대승불교의 출현 이후 계속되어 온 문제였다. 무착의 ≷대승장엄경론≸에서는 여덟 가지 근거를 들어 대승이 불설이라고 주장하지만, 현대 불교학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운데 어느 하나 타당한 것이 없다. 대승불전은 모두 후대에 창작, 편집된 위경(僞經)으로 부처님의 직설이라고 할 수없다. 티벳의 경우는 뗄마(gTer Ma)라는 이름의 위경이 계속 출현하여 정경(正經)으로서 역할을 하며 대승불전 역시 뗄마의 일종으로 간주한다. 그런데 현존하는 한역 아함경이나 빠알리 니까야의 경문 역시 부처님의 교설 그대로인 것은 아니다. 이들 초기불전의 가르침이 부처님의 직설에 근접하긴 하지만 아쇼카왕 비문의 기록이나 그 성립시기에 비추어 볼 때 이 역시 부처님의 가르침이라고 확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렇게 불교의 근본을 추구해 들어가는 작업은 마치 양파 까기와 같다. 그러나 초기불전에서 그 전거를 찾을 수 있고 사성제의 교리에 어긋나지 않으면 불설로 인정한다는 기준을 세울 경우 대승불전의 가르침 역시 불설로 수용된다. 예를 들어 대승불전의 보살은, ≷본생담≸ 에 등장하는 석가모니의 전신(前身)을 불자들이 추구해야 할 보편적이고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확장한 것이며, 타방불토사상은 초기불전과 아비달마교학의 삼천대천세계설의 논리적 귀결이며, 반야경의 법공사상은 법의 방편성을 가르친 뗏목의 비유와 그 취지를 같이 한다. 또 이들 세 가지 대승교리는 불교의 핵심인 사성제의 가르침과도 어긋 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껍질을 벗기고 벗겨도 본질이 나오지 않는다.”는 부정적 의미 에서 어떤 일을 양파에 비유하곤 한다. 그런데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양파의 경우 벗겨 지는 껍질들이 모두 양파의 육질(肉質)이고 본질(本質)이다. 대소승의 불전들은 바로 이런 양파와 같으며 현재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신봉하는 대승불전들 대부분은 각 시대와 지역과 문화에 부응한 법신불(法身佛)의 대기설법으로 불교의 본질이 담겨 있다.

From the beginning of Mahāyāna Buddhism, it has been a question whether the Mahāyāna-sūtras are Gautama Buddha s real teachings or not. In Mahāyānasūtrālamkāra-śastra, Asaṅga presented eight reasons to prove Mahāyāna-sūtras as the Buddha’s real teachings. But any of those reasons can t be accepted by most of modern scholars. Since the Mahāyāna-sūtras are composed and edited lately long after the Buddha’s Nirvāṇa, they cannot be considered to be his direct teachings. In Tibet, ‘gTer Ma’ has been created and served as an authentic canon of Buddhist scriptures. Also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like Chinese Āgama or Pāli Nikāya are not exactly what the Gautama Buddha said. The efforts of searching the Buddha s real teaching is compared to unraveling the peels of an onion. In fact, we cannot find the Buddha s direct words even in early Tripiṭaka. So we should establish criteria for judging authenticity of Buddhist scriptures. First of all, the teachings of a Buddhist scripture can be referred to early Tripiṭaka. Secondly, the philosophies or thoughts of that scripture should coincide with Four Noble Truths. Then, the Mahāyāna-sūtras can be accepted as the Buddha’s real teachings. The sources of most Mahāyāna thoughts can be found in early Tripiṭaka. The ideal of Bodhisattva is extracted from the previous life of Gautama Buddha in Jātaka. The existence of extraterrestrial Buddha s land is a logical consequence of the theories of Trisāhasramahāsāhasralokadhātu and Impermanence. The theory of emptiness in Prajñāpāramitāsūtra is a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of the simile of a raft in early Tripiṭaka. Generally we use the analogy of peeling an onion as a vain effort. There is no substance or core in the center of an onion. However if we think in a positive way, each layer is the real substance. An onion is composed of substantial peels. Likewise, most Mahāyāna Sūtras are substantial peels of the Buddha's teachings.


目次I. 대승불전은 불설인가? 2
II. 초기불전과 아비달마교학에서 찾아본 대승불교 교리 12
III. 대승불교는 양파의 껍질과 같은 불교의 본질이다. 20
ISSN15980642 (P)
點閱次數108
建檔日期2021.06.22
更新日期2021.06.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792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