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근대 불교잡지의 번역담론 -- 『불교』를 중심으로=A Discourse on Translation in modern Buddhist Journals - Focusing on Bulgyo (Buddhism)
作者 김종진 (著)=Kim, Jong-Jin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54
出版日期2018.03
頁次183 - 212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內容註
關鍵詞번역=Translation; 근대불교=Modern Buddhism; 번역론=translation theory; 번역담론=Translation discourse; 백용성; 박한영=Park Han‐yeong; 권상로=Kwon Sang‐ro; 한용운=Han Yong‐un; 백성욱=Baek Seong‐uk; 김법린=Kim Beop‐rin
摘要근대불교잡지 특히 『불교』(1924.7-1933.7)에는 해외의 불교연구, 과학지식, 문학 작품 등 경전의 번역을 넘어서는 다양한 번역이 혼재되어 있다. 또 근대의 변화를 인식하면서 그 시대에 불경 번역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방법론을 모색한 불교 지성의 논설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정황은 그동안 선행연구자들이 근대불교 지성의 번역에 대한 인식과 당대인의 실천을 소극적으로 파악했던 것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요한다.
이 시기 전개된 번역담론으로는 권상로의 조선글화엄경을 보고 (불교43호, 1928.1), 백성욱의 역경의 필요는 ? (불교 58호, 1929.4), 김법린의 민중본위적 불교운동의 제창 (일광 2호, 1929.9), 이대문제(일광 3호, 1931.3) 에 대한 김법린과 한용운의 답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박한영의 설창한화 (일광 3호,1931.3),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 불교 88호, 1931.10) 과 역경의 급무 ((신) 불교 3집 1937.5) 등이 있다.
본고의 2 장에서는 근대불교 번역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사를 검토하고 불교잡지 번역담론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장에서는『불교』를 중심으로 1920-30 년대 불교 잡지의 번역 담론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조선글화엄경」(1927, 1928) 간행 이후 박한영, 권상로, 한용운, 백성욱, 김법린 등 불교계를 대표하는 지성들 이 형식적 다양성을 지향하는 번역론을 전개했으며, 문화와 문학적 번역의 가치를 긍정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했음을 확인하였다. 『불교』를 비롯한 1920-30년대 불교잡지의 번역담론은 백용성의「조선글화엄경」출간으로 촉발되었고 그 논리가 심화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Modern Buddhist journals, especially the magazine Bulgyo (Buddhism) published between 1920s and 1930s contains various translations covering overseas Buddhist research, scientific knowledge, poetry, novels, etc., more than the those of scriptures. These journals also present the various discourses by Buddhist intellectuals on the method of translation. This circumstance requires a reflective review on the fact that previous researchers have passively explored the modern Buddhist leading intellectuals’ view of translation. Therefore, in Chapter 2, this study reviews recent research on the modern Buddhist translations and raises the need for research on translation discourses through Bulgyo. In Chapter 3, this study explores in detail the translation discourses appearing in Bulgyo between 1920s and 1930s and extracted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uch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 Buddhist world as Park Han-yeong, Kwon Sang-ro, Han Yong-un, Baek Seong-uk and Kim Beop-rin, etc. developed a translation theory aimed at formal diversity and that the discussions wer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affirming the value of culture and literary translation.
The publication of Joseongeul Hwaeom-gyeong (Avatamsaka Stutra in Korean 1927, 1928) by Baek Yong-seong is followed by active discussions related to the translation work. Bulgyo and other magazines (彙報) and journals (宗報) contain articles on Joseongeul Hwaeom-gyeong. Various articles, commentaries, and advertisements of Buddhism were triggered by the publication of Joseongeul Hwaeom‐ gyeong, with the development of logic in depth.



目次I. 머리말 184
II. 근대 불교 번역론의 연구 현황 185
III. 불교잡지에 전개된 번역 담론 188
IV. 번역담론의 비교와 시대성 202
V. 맺음말 208
ISSN15980642 (P)
點閱次數90
建檔日期2021.06.29
更新日期2021.06.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852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