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은유의 불교적, 전일론적 해석=A Buddhistic and Holistic Interpretation of Metaphors
作者 홍성기 (著)=Hong, Sung-Ki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59
出版日期2019.06
頁次27 - 54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關鍵詞은유=metaphor; 십이연기=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식-명색=consciousness- nameform; 유식=the doctrine of consciousness; 전일론=holism
摘要불교 문헌에 등장하는 은유들은 매우 많고 또 교리의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은유라는 언어 현상 자체에 대한 불교철학적 연구는 드물다. 그 이유는 불교가 언어에 대해 갖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견해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된다. 다른 한편 은유에 대한 현대적 해석은 ‘한 언어적 표현이 기존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에도 사물의 새로운 측면을 일회성으로 비춘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세존이 설법한 십이연기에서 식과 명색의 상호의존 관계를 분석하면, 과거의 경험에서 집수된 제8식에 저장된 상, 즉 종자가 발화 행위를 통해 바다의 파도처럼 일회성으로 기립된 사물의 현실화(種子生現行)가 동시에 종자를 재조정하는 훈습으로 드러난다(現行熏種子). 즉 은유란 언어 행위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식과 명색의 상호의존 관계 즉 연기의 한 현상이다.
개체화가 일어나기 전의 구체적인 발화 행위와 현행은 모두 일회성 사건이므로 언어와 대상 간의 부정합, 왜곡은 있을 수 없다. 즉 언어의 정상적인 사용에 비해 부정적으로 이해되었던 은유는 현행의 일회성에 부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존재론적으로 은유에 의해 기립된 존재는 전체 세계와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일론적 언어 행위로서 긍정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십이연기의 후반부에 있는 ‘수-애-취-유’, 즉 정서적 집착을 통해 개체화된 세계에서는 언어가 존재 망상을 일으켜 실상을 왜곡한다. 따라서 언어 행위를 실상의 왜곡이 없는 은유의 세계로 돌리기 위해서는 욕망의 제어라는 과정이 불가피하며, 이는 불교가 이론과 수행의 양 측면을 갖는 이유이다.

The metaphors in the Buddhist literature are numerou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understanding the doctrine of Buddhism. However, the Buddhist philosophical studies on the language phenomenon ‘metaphor’ itself are hard to find. The reason is related to various negative attitudes of Buddhism toward language.
In analyzing the interdependence between consciousness (vijnana, 識) and nameform (namarupa, 名色) i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十二緣起), it is clear that object schema (lakṣaṇa, 相), which was received from past
experiences and stored in the alaya-vijnana (藏識), generates actualization of object schema through a current utterance (種子生現行). At the same time, this actualization (現行) perfumes the object schema (現行熏種子) as well.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objects is the pratītyasamutpāda (緣起), i.e., the core doctrine of Buddhism.
At this time, language has a figurative meaning in which it generates an actualization as one aspect of the world, and language can not distort the reality because it is simultaneous as the one-time event. In other words, the metaphor was mistakenly understood comparing to the normal use of language, but is in conformity with the one-time actualization. And the latter is not ontologically separated from the whole world.
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tion through the ‘sensation-craving-grasping-be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distorts the reality by the non-metaphoric language use. The memory of pleasure and pain of the past covers the present object (actualization), and this process is required for the individuation. Therefore, a process called ‘control of desire’ is inevitable and this is why Buddhism holds the two horns of theory and practice.
目次I. 머리말 28
II. 본론 31
III. 맺음말 49
ISSN15980642 (P)
點閱次數45
建檔日期2021.07.09
更新日期2021.07.0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920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