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Tathāgatagarbhaḥ sarvasattvānāṃ -- 涅槃経における如来蔵の 複合語解釈にかんする試論=Tathāgatagarbhaḥ sarvasattvānāṃ -- A Hypothetical Interpretation of a Declarative Formula in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作者 加納和雄 (著)=Kano, Kazuo (au.)
出處題名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仏教学レビュー
卷期v.22
出版日期2017.12.30
頁次9 - 61
出版者金剛大學
出版者網址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日文=Japanese
附註項著者所属:駒澤大学
關鍵詞여래장=tathāgatagarbha; 소유복합어=bahuvrīhi; 대반열반대경=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스투파=stūpa
摘要이 논문에서, 나는 『대승열반경』(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산스크리트 단편에 보존된 ‘tathāgatagarbhaḥ sarvasattvānāṃ’라는 선언문의 해석과 관련하여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이 구는 소유복합어(bahuvrīh)인 ‘tathāgatagarbha’가 ‘sattva’를 수식하는 (sarvasattvās tathāgatagarbhāḥ) 『여래장경』(Tathāgatagarbhasūtra)의 경우와는 달리, 이 구가 소유복합어일 경우 ‘tathāgatagarbha’라는 단어가 문법적으로 ‘sattvānāṃ’을 수식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열반경』의 ‘tathāgatagarbhaḥ’를 격한정복합어(tatpuruṣa)로 해석해왔지만, 나는 이 것을 소유복합어로 해석하고. 이 복합어가 어떤 기술되지 않은 명사(즉, 구절에서 생략된 stūpa)를 수식하는 형용사를 취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는 다음의 이유에 기반한다.
(1) 선언문에서 단어 ‘tathāgatagarbha’는, 소유복합어로서 ‘tathāgatadhātugarbha’가 ‘stūpa’를 수식(즉, ‘여래의 유물을 가진 stūpa’) 하는 다른 대승 경전에서 증명되듯이, ‘tathāgatadhātugarbhān stūpān, dhātugarbhe caitye’ (유물을 가진 caitya (sadhātuke caitye)라는 표현으로 바꿔 말할 수도 있다.) 등과 같은 표현을 전제할 것이다. (2) 이 선언문에서 불교 비문(碑文)의 ‘dhātudhṛk’나 ‘dhātudharaḥ’와 같은 (둘 다 stūpaḥ를 생략) 표현에서 발견되는 동일한 생략, 곧 명사 ‘stūpa’의 생략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3) 『열반경』의 선언문은 자연스럽게 (법신(dharmakāya)과 여래장(tathāgatagarbha)의 관점으로부터
『열반경』에서 재해석되는) 여래의 열반(tathāgata’s nirvāṇa)과 탑에 있는 그의 유물을 다루는 『열반경』의 주요 주제와 연결되어야 한다. (4) 『열반경』은 모든 존재들은 실제 ‘stūpa/caitya’라고 정확히 선언하고, 이 선언은 “모든 존재들은 ‘tathāgatagarbha(즉, stūpa)’를 가진다(tathāgatagarbhaḥ sarvasattvānāṃ)”는 구와 맥락상 일치한다. (5) 『열반경』의 산스크리트 구절에서 “우리 위에 tathāgatagarbha가 있다(asmākam upari tathāgatagarbho ‘sti)”에는 또 다른 해석이 있을 수 있다. 이 표현에서 단어 ‘tathāgatagarbha’는 위에 언급된 해석과 위배되지 않고, 오히려 이 것은 『법화경』(Saddharmapuṇḍarīka)의 유명한 장면을 상기시킨다. 즉, 청중들 위 하늘로 올라오는 ‘stūpa’다(saptaratnamayaḥstūpo ’bhyudgataḥ ... parṣanmaṇḍalasyopari vaihāyasaṃ tiṣṭhet).
따라서, 나는 이 선언문 속에서 단어 ‘tathāgatagarbhaḥ’를 잠정적으로 ‘stūpa’를 수식하는 소유복합어로 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나는 단어의 부차적인 의미로 ‘tathāgatagarbha’를 격한정복합어로 해설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시모다 마사히로나 미하일 라디치가 이미 지적하였듯이 ‘garbha’라는 단어의 의미가 풍부하기 때문에, 두세 가지의 의미로 단어를 사
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I shall propose a hypothetical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tathāgatagarbhaḥ sarvasattvānāṃ, which is a declarative formula of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abbr. MPMS) and is preserved as original Sanskrit. This phrase confirms that the word tathāgatagarbha—if this is a bahuvrīhi compound—cannot grammatically go with the word sattvānāṃ unlike the case of the Tathāgatagarbhasūtra, in which tathāgatagarbha, being a bahuvrīhi, qualifies the noun sattva (sarvasattvās tathāgatagarbhāḥ).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interpreted tathāgatagarbhaḥ of the MPMS, as a tatpuruṣa, whereas I shall keep this as a bahuvrīhi and take it to be an adjective which qualifies some undescribed noun—that is, stūpa, omitted in
the phrase,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1) The word tathāgatagarbha in the formula is probably premising such expressions like tathāgatadhātugarbhān stūpān, dhātugarbhe caitye (which is paraphrased by the expression sadhātuke caitye “a caitya that contains relics”), etc., as found in other Mahāyāna scriptures, where tathāgatadhātugarbha, as a bahuvrīhi, qualifies the noun stūpa “a stūpa that contains tathāgata's relics”; (2) the omission of the noun stūpa in the formula might reflect the same omission found in expressions, such as dhātudhṛk or dhātudharaḥ (both omitting stūpaḥ), as found in Buddhist inscriptions; (3) The declarative formula of the MPMS should naturally be relevant to the main topic of the MPMS, which deals with tathāgata's nirvāṇa and his relics that were found in stūpas (which, in turn, are reinterpreted in the MPMS from the viewpoint of the dharmakāya and tathāgatagarbha); (4) The MPMS precisely declares that all beings are real stūpa/caitya, and this declaration fits well with the phrase tathāgatagarbhaḥ sarvasattvānāṃ “all beings have tathāgatagarbha (i.e. stūpa)”; (5) We find yet another expression (asmākam upari tathāgatagarbho 'sti “there is tathāgatagarbha above us”) in the Sanskrit fragment of the MPMS; however, the word tathāgatagarbha, in this expression, does not disturb the abovementioned interpretation. Instead, this reminds us of the famous scene taught in the Saddharmapuṇḍarīka—the stūpa arising in the sky above the audience: saptaratnamayaḥ stūpo ’bhyudgata
目次1. はじめに 12
2. 『如来蔵経』 における tathāgatagarbha の所有複合語解釈 14
3. 『涅槃経』 における tathāgatagarbha の所有複合語解釈 15
4. 『涅槃経』 の宣言文の文法構造 16
5. 『涅槃経』 のテーマとしての般涅槃、遺骨、仏塔 18
6. 自己の仏塔化と tathāgatagarbha 20
7. 『金剛般若』 における経文所在地点の仏塔化 23
8. 『法華経』 の関連記述 24
9. 内なる仏塔としての如来蔵 26
10. 一切衆生とはだれか 27
11. 自己の仏塔化と、衆生が仏塔をもつということ 29
12. 仏の内化に仏塔の存在が必要とされた理由 30
13. tathāgatagarbha が仏塔を明示する仏典の事例 32
14. 碑文中の事例 35
15. 『涅槃経』 の tathāgatagarbha の格限定複合語解釈の可能性 39
16. 後代にみられる tathāgatagarbha の格限定複合語解釈 40
17. 『涅槃経』 梵文断片に確認されるその他の tathāgatagarbhaの用例 42
18. tathāgatagarbha と *buddhadhātu ―器と中身 48
19. 宣言文 tathāgatagarbhaḥ sarvasattvānāṃ における仏塔の語の省略 50
20. 下田説の検討 51
21. おわりに 53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22.201712.9
點閱次數243
建檔日期2021.08.13
更新日期2022.04.1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113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