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法界圖記叢髓錄』 연구사와 과제=A Survey of Studies on Beobgyedogi-chongsurok
作者 황서광 (著)=Hwang, Seo-kwang (au.)
出處題名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卷期v.26
出版日期2019.10.31
頁次131 - 157
出版者金剛大學
出版者網址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
關鍵詞『법계도기총수록』=Beopgyedogi-chongsurok; 의상계 화엄학=Uisang School of thought; 삼기=三記=Beopgi·Jingi·Daegi; 직설시대=Direct-teaching period=Annotation period; 교학적 분한 (分限)=Doctrinal division; 일승론=Single Vehicle theory; 연기론=Dependent Origination theory
摘要『법계도기총수록』은 均如의 현존 저술과 함께 의상계 화엄학의 양대 문헌으로 자리매김 된다. 기존의 『총수록』연구는 세 가지 경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의상 및 『법계도』사상과 관련된 연구, 둘째, 균여 사상의 역사적 배경 연구, 셋째, 『총수록』내 특정 주제에 대한 개별 연구이다.
그동안 『총수록』연구사는 중요성에 비해 소략하게 다루어졌다. 일본에서의 연구 현황은 어느 정도 정리되었지만, 국내에서는 의상계의 계보 연구사가 중심이 되어 왔다. 하지만 『총수록』연구는 주제의 범위가 넓다.
『총수록』에는 三記를 포함한 32개의 인용문헌이 씨줄과 날줄로 엮여 3백여 년에 걸친 의상계 화엄학이 집대성되어 있다. 제대로 된 연구방법론 없이는 체계적인 이해가 결코 쉽지 않은 복잡다단한 문헌임에 틀림없다. 즉 시대구분 문제와 교학적 分限의 문제가 선결되지 않고는 그 실상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의상계는 義湘을 친견한 제자를 사사한 손제자까지인 문답 중심의 직설시대와 그 이후인 주석서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神琳 이전과 法融 이후가 시대구분의 일차적 분수령인 것이다. 주석서시대의 세분 기준은 삼기 사상의 면밀한 연구가 전제된 교학 중심이 되어야 한다. 성기론과 교판론에 치우친 연구 주제의 편협성도 탈피하여야 한다. 특히 『화엄경』의 내적 직관의 견지에서 부처 교설의 진의를 중층적·심층적으로 꿰뚫어보려는 ‘일승론’, 진성의 해석에서 비롯되어 五海, 無側, 二十二位의 교학으로 전개된 ‘연기론’ 등은 향후 중요한 연구 과제가 아닐 수 없다.

Along with books by Gyunyo, the Beobgyedogi-chongsurok (Collection of Essential Records on the Dhārma Diagram) is regarded as the original text of the Uisang School of thought. Previous studies on Chongsurok can be divided into three areas; first, Uisang and his book, Ilseungbeobgye-do (Single Vehicle Dhārma Realm Diagram), second, historical background which forms the Gyunyo’s thoughts, and third, the others.
Previous surveys of studies on Chongsurok have been briefly dealt with in Korea, in contrast to surveys conducted in Japan. Mostly they were surveys of studies on genealogy of the Uisang School of thought. But studies on Chongsurok offer a much wider range of themes.
Chongsurok is a compilation of the Hua-yen doctrine of the Uisang School of thought, spanning a period of three-hundred years, according to thirty-two books cited. Without considering rigorous deployment of methodology, periodization and doctrinal division,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Chongsurok systematically.
A chronicle of the Uisang School of thought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periods, namely, the direct-teaching period and the annotation period. To be specific, the former is supposed to be teaching delivered directly from Uisang to Sillim, who was his grand disciple, and the latter starts from Beobyung, who was the grand-grand disciple of Uisang. Subdivision of the annotation period can be achieved by analyzing the texts titled Beobgi, Jingi, and Daegi, each of which has different authors, and is published at different intervals along the timeline that tracks the evolution of the annotations.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subject of the study is biased toward Doctrinal Classification and Manifestation of Reality theory of the Uisang School of thought. There are important subjects of study left that are Ilseung(Single Vehicle) theory, which inquires into the true meaning of Buddha’s teaching on Avataṁsaka sūtra and Dependent Origination theory, which is developed into Ohae (Five Seas), Mucheuk (No Sides), Isipiwi (Twenty-two grades) doctrines.
目次Ⅰ. 연구사 개관 132
Ⅱ. 의상 및 『일승법계도』 관련연구 134
Ⅲ. 균여 사상의 역사적 배경 연구 138
Ⅳ. 특정 주제에 대한 개별 연구 144
Ⅴ. 쟁점과 과제 150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26.201910.131
點閱次數27
建檔日期2021.08.16
更新日期2021.08.1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136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