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순역 경계 속의 신행방법론 -- 원불교의 입장에서=Practice Methodology in Favorable and Adverse Circumstances -- From the Stand Point of Won-Buddhism
作者 김도공 (著)=Kim, Do-gong (au.)
出處題名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卷期v.17 n.2
出版日期2011.12
頁次101 - 123
出版者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원광대학교 소속
關鍵詞순경=Favorable circumstances; 역경=adversity; 고통=suffering; 고락=happiness; 고락초월=transcending suffering and happiness; 자성극락=own nature and ultimate happiness; 신행방법=methodology of faith and practice; 종교적 성숙=religious maturation
摘要역경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싫어하고 피하고 싶은 상황이다. 그러나 피하고자 하나 피할 수 없는 것이 인간이 처한 삶의 현실이다. 순경은 인간이 겪게 되는 즐겁고 편안한 현실을 말한다. 이는 누구나 원하지만 원하는 만큼 가질 수가 없다.
원불교에서는 순경과 역경이라는 하는 삶의 현장을 신앙과 수행의 터전으로 만들고자 한다. 그 핵심의 내용이 ‘고락에 대한 법문’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그 구체적 방법은 원불교 수행의 기본 원리인 삼학(三學)에 기초하고 있으며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는 신앙과도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리고 구체적인 삶의 현장인 순경과 역경이 그 극복에만 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순역경계 및 고락을 초월한 자리인 자성극락자리에 부합되고자 하는 것에 있다. 고락을 초월한 자성극락자리는 원불교에서 표방하는 일원상 진리의 궁극의 자리와도 하나로 부합되는 경지와 다름이 없다.
전체적으로 본 논고는 순경과 역경이라고 하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원불교적 신앙과 수행의 방법은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이었다. 경전의 가르침이 교리적 설명과 나열로 이해되는 것에 머물지 않기를 바라고, 그 가르침이 항상 삶 속에서 적용되어 의미 있게 작동되었으면 하는 의도에서 작성한 논문이다.

Adversity is a circumstances that every human being hates and wants to avoid. Wishing to escape but unable reality is also all human beings' facing life. Favorable circumstances is a happy and peaceful reality of human experience. Everyone wishes to have but not able to experience as much as they want.
Won-Buddhism is to make those favorable and adverse reality of life as a ground of faith and practice. It core teaching is contained in "the dharma instruction of suffering and happiness." Its practical methodology is based on the Three Studies, the essential principle of Won-Buddhist practice, and its context is closely related with faith. The object of favorable and adverse circumstances is not only focused on overcoming them, but also is to correspond with the state of own nature and ultimate happiness, which transcend those favorable and adverse circumstances and suffering and happiness. The state of own nature and ultimate happiness transcending suffering and happiness is no difference with a state of ultimate truth of Il-Won-Sang, Won-Buddhism proclaims.
Generally, this article is trying to investigate that what are the methodologies of faith and practice of Won-Buddhism in favorable and adverse reality of practical life. This is written with an intention that teaching of the Won-Buddhist scriptures are not to be comprehended only as doctrinal explanation or enumeration, but the teaching is to be applied, useful and alive in practical life of people.
目次Ⅰ. 이끄는 말 102
Ⅱ. 순역 경계의 종교적 의미 104
1. 순경(順境) 과 역경(逆境) 의 의미 104
2. 고통의 종교적 의미 105
Ⅲ. ‘고락(苦樂)에 대한 법문’ 의미해석 108
Ⅳ. 순역 경계 속에서의 신앙 수행 방법 111
1. 순역 경계 수용의 정신자세 마련 111
2. 순역 경계의 원인에 대한 철저한 인식 113
3. 순역경계의 적극적 대응 116
4. 순역 경계 초월한 자리의 추구 118
Ⅴ. 마무리 글 119
ISSN20926553 (P)
點閱次數123
建檔日期2021.08.23
更新日期2021.08.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185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