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근본불교에서 ‘일체(一切; sabba)’의 의미=On What Sabba(一切) Means in Early Buddhism
作者 이중표 (著)=Lee, Joong-pyo (au.)
出處題名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卷期v.18 n.1
出版日期2012.06
頁次93 - 122
出版者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소속: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關鍵詞一切=sabba; 一切法=sabba-dhamma; 一切有=sabba-atthitā; 十二入處=twelve-āyatanas; 十八界=eighteen-dhātus; 五蘊=five-khandhas; 緣起=paṭiccasamuppāda
摘要근본불교에서 ‘一切(sabba)’와 ‘一切法(sabba-dhamma)’, 그리고 ‘一切有(sabba-atthitā)’는 각기 다른 의미를 갖는 개념이다. ‘一切’는 모든 ‘있음’의 근원으로서 十二入處를 의미한다. 그리고 ‘有(atthitā)’는 ‘있음’의 실상에 무지한 중생들이 實有하는 존재를 지칭하는 개념으로서, 붓다는 이 개념을 ‘있음’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지 않는다. 붓다는 우리가 명사로 표현하는 존재를 ‘有(atthitā)’ 대신에 ‘法(dharma)’이라고 부르는데, ‘法(dharma)’은 연기법이라고 하는 질서정연한 과정 속에 나타나는 ‘있음’을 지칭하는 동사적 의미의 명사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그런데 아비달마불교에서는 ‘一切’를 ‘一切法’과 동일시하고, ‘一切法’을 ‘一切有’로 해석함으로써, 붓다는 이 세상에 실제로 존재하는 모든 것, 즉 ‘一切有’를 인식함으로써 붓다가 되었다는 입장을 갖게 된다. 그 결과 붓다의 깨달음의 내용을 緣起法이 아니라 ‘一切有’로 보는 오류를 저지른다. 이러한 오류는 근본불교의 철학체계를 본질적으로 파괴하여 변질시켰다. 근본불교의 철학체계는 연기설이다. 근본불교철학은 ‘十二入處’라는 ‘一切’에서 ‘一切法’이 연기하는 구조를 체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아비달마불교에서 이러한 연기의 구조는 왜곡되고, 연기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들, 즉 十二入處, 十八界, 五蘊은 일체의 實有하는 존재들의 세 가지 범주체계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왜곡된 불교 이해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十二入處는 內六入處와 外六入處로 구성되어있다. 내부에 존재하는 자아가 보고, 듣는 인지활동을 한다고 생각하는 망념이 內六入處이고, 외부에 존재하는 대상이 형태나 소리 등을 통해 인지된다고 생각하는 망념이 外六入處이며, 이들을 十二入處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와 같이 十二入處는 무지한 중생들이 일으킨 망념이며, 이러한 망념이 중생들의 괴로운 세계의 근원이 된다는 의미에서 붓다는 十二入處를 ‘一切’라고 이야기했다.
이러한 망념의 상태에서 지각할 때, 외부의 대상을 분별하는 六識이 발생하며, 十二入處라는 망상 위에 이들 六識이 발생하여 나타난 의식구조가 十八界이다. 그리고 十八界라는 의식구조에서 대상을 경험하는 것을 ‘觸(phassa)’이라고 부르며, 그 경험을 통해 受, 想, 思 등이 연기한다. 중생들이 자아라고 집착하고 있는 五蘊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十二入處에서 연기한 것이다. 붓다는 중생들이 자아라고 집착하고 있는 五蘊이 연기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해서 十二入處와 十八界를 이야기한 것이다.
이와 같이 ‘一切’와 ‘一切法’, ‘一切有’의 의미를 명확히 구분할 때, 붓다가 사용한 개념들의 의미가 분명해지고, 그 개념들에 의해 교시된 붓다의 철학, 즉 연기설은 바르게 이해될 수 있다.

In Early-Buddhism, sabba(一切), sabba-dhamma(一切法), and sabba-atthitā(一切有) bear different meanings respectively. Sabba(sk. sarba) as the origin of all 'beings' means twelve-āyatanas(十二入處). While atthitā(有) is the term for the people ignorant of truth to refer 'being'. Buddha does not use the term for referring beings. Buddha calls being in a noun-form dhamma(sk. dharma) instead of atthitā, and the former refers 'beings' presented in the orderly process of paṭiccasamuppāda(緣起). And it is the term that refers a noun grammatically bearing a meaning in verb form.
However, Abhidharma-Buddhism, by identifying sabba with sabba-dhamma, and rendering sabba-dharma as sabba-atthitā, holds the view that Buddha became Buddha by recognizing sabba-atthitā, that is, all that really is. As a result, they have committed a fallacy of regarding the content of Buddha's enlightenment as sabba-atthitā(一切有) instead of paṭiccasamuppāda(緣起).
This fallacy has radically destroyed and transformed the philosophical system of Fundamental-Buddhism. The philosophical system of Fundamental-Buddhism is paṭiccasamuppāda. That is, it shows how sabba-dhamma(一切法) arises out of sabba(一切), which means twelve-āyatanas(十二入處) as the origin of all 'beings'.
However, this structure of paṭiccasamuppāda has been distorted, and therefore such essential notions as twelve-āyatanas(十二入處), eighteen-dhātus(十八界), five-khandhas(五蘊) which show the process of paṭiccasamuppāda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ree categories of real beings. And this distorted interpretation of Buddhism still keeps going on.
Twelve-āyatanas consists of six-ajjhattikāyatanas(內六入處) and six-bāhiraāyatana(外六入處). The illusion that the self residing inside sees and hears is six-ajjhattikāyatanas(內六入處), and the illusion that the objects residing outside are recognized by means of shape or sound is six-ajjhattikāyatana(內六入處). Thus, twelve-āyatanas(十二入處) is the illusions that ignorant people construct among themselves, and Buddha says that twelve-āyatanas(十二入處) are sabba(一切) in the sense that such illusions serve as the ground for constructing people's world.
When people perceive this world through such illusions there arise six-viññāṇas(六識) which enable them to distinguish external objects. And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in which six-viññāṇas(六識) arise on the ground of the illusion of twelve-āyatanas(十二入處) is called eighteen-dhātus(十八界). And experiencing the object within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of eighteen-dhātus(十八界) is called phassa(觸), through which vedanā(受), saññā(想), and saṅkhara(行) arise. Five-khandhas(五蘊) which people firm
目次1. 머리말 2
2. 一切․一切有․一切法의 의미의 차이 3
3. Saṃyutta-Nikāya의 ‘Sabba-vagga’ 고찰 15
4. 一切와 一切法에 대한 아비달마불교의 해석 18
5. 十二入處․十八界․五蘊의 緣起關係 22
6. 맺음말 26
ISSN20926553 (P)
點閱次數45
建檔日期2021.08.23
更新日期2021.08.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188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