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한국 현대불교의 종단사와 이념=History and Ideology of Korean Modern Buddhism
作者 김광식 (著)=Kim, Gwang-sik (au.)
出處題名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卷期v.24 n.2
出版日期2018.08
頁次29 - 50
出版者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특임교수
關鍵詞전통불교=Traditional Buddhism; 정화불교=purification Buddhism; 불교현대화=modernization of Buddhism; 호국불교=defense Buddhism; 민중불교=People Buddhism; 개혁불교=reform Buddhism
摘要본 고찰은 1945년 8·15 해방부터 1999년까지의 약 50년의 불교 종단 역사의 흐름을 정리 한 고찰이다. 불교 종단사의 흐름을 요약하고, 그에 나타난 이념, 지향을 정리하였다.
첫째, 해방공간(1945~1950)에서의 불교이념은 대중불교(식민지 불교)와 전통불교이었다. 해 방공간에서는 대중불교와 전통불교 간의 대응이 있었지만 대중불교의 노선이 지배적이었다.
둘째, 정화공간(1951~1962)에서는 식민지불교의 극복이 주류가 되었다. 그 결과 불교를 정 화해야 된다는 이념으로 비구불교가 지배적인 이념이 되었다. 이때 대처측은 보살불교를 주 장하였지만 대중들에게는 수용되지 않았다.
셋째, 산업화 공간(1963~1980)에서는 불교현대화와 호국불교가 표방되었다. 불교를 현실에 토착화시켜야 한다는 바램에서 불교 현대화가 강조되었다. 그리고 불교의 문화가 중요시 되 었다.
넷째, 민주화 공간(1981~1999)에서는 민중불교와 개혁불교가 활동하였다. 이 노선은 사회의 민주화 동향에서 촉발되어, 불교 내부를 개혁하려한 흐름의 산물이다. 이 흐름의 주체들은 이전 이념인 정화불교를 부정하고 종권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종권 주도로 인해 ‘종 단개혁’은 불교의 세속화를 가속화시켰다.
지금껏 현대불교 종단사의 흐름과 그에 나타난 불교이념을 정리하였다. 이 고찰을 통해 현 대 불교사의 개요 및 성격, 그리고 대두된 불교이념의 이해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is a review of the history of Buddhism for about 50 years from the Liberation of August 15, 1945 to 1999. I aim to summarized the trend of Buddhist sensibilities and summarized the ideas and goals that appeared on them.
First, the Buddhist ideology in the free space(1945-1950) was popular Buddhism (colonial Buddhism) and traditional Buddhism. In the free space, there was a response between popular Buddhism and traditional Buddhism, but popular Buddhism was dominant.
Second, in the clean-up space(1951-1962), the victory of colonial Buddhism became the mainstream. As a result, with the idea of cleaning up Buddhism, non-Confucian became the dominant ideology. At this time, the married monks insisted on the Buddhist saint's religion, but they were not accepted by the public.
Third, the Industrial Complex(1963-1980) claimed to be a modernization of Buddhism and a national religion. Modernisation of Buddhism was emphasized in the hope that Buddhism should be naturalized in reality. And Buddhist culture became important.
Fourth, People Buddhism and reformative Buddhism were active in the area of democratization(1981-1999). The line is a product of a trend toward reforming the interior of Buddhism, triggered by a trend toward democratization in society. The subjects of this trend denied the previous ideology, He took over the power of the Buddhist order. However, due to their leadership, the 'reforms of the Jogye Order' accelerated the secularization of Buddhism.
It has so far compiled the flow of modern Buddhist history and the Buddhist ideology that appeared in it. Through this review, I hope that it will help to understand the overview and nature of modern Buddhist history and the Buddhist ideology that emerged.

目次Ⅰ. 서언 30
Ⅱ. 해방공간(1945~1950): 대중불교(식민지 불교)와 전통불교 30
Ⅲ. 정화공간(1951~1962): 비구불교(불교정화)와 보살불교 33
Ⅳ. 산업화 공간(1963~1980): 불교현대화와 호국불교 39
Ⅴ. 민주화 공간(1981~1999): 정화불교와 민중불교·개혁불교 41
Ⅵ. 결어 48
ISSN20926553 (P)
點閱次數75
建檔日期2021.09.02
更新日期2021.09.0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232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