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고려후기·조선초 천태종단의 존재양상 추이 및 동향 -- 주요 고승과 사찰을 중심으로 =The Buddhistic History and Status of Ch'ontae Sect's Administration in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Dynasties -- Centered on major venerable monks and Buddhist temples
作者 황인규 (著)=Hwang, In-gyu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74 n.0
出版日期2015.06
頁次229 - 253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서울) 역사교육과 교수
關鍵詞국청사=Gukchong temple; 백련사=Baekryeonsa temple; 묘련사=Myoryen temple; 의천=Buddhist monk Uicheon; 의선=Buddhist monk Ueseon; 신조=Buddhist monk Shinjo; 조구=Buddhist monk Jogoo; 행호=a High priest Haengho; Buddhist monk Yose
摘要본고는 ‘고려 천태종’의 창립이후 조선초 통폐합에 이르기 까지 종단의 존재 양상의 추이 및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의천의 종단 창립이후 조선초에 이르기 까지 승과가 실시되어 고승이 배출되는 등 국도 개경을 중심으로 종단이 운용되었다. 무신집권기초 개경 인근에서도 결사가 전개되었으며, 지방 남단 백련사 결사가 전개되어 수선사계 고승들과 더불어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원 간섭기 후반 백련사 고승 靜照而安은 釋敎都摠攝으로서 묘련사를 중심으로 종단을 주도하였으며, 원혜와 정오 등이 왕사로 책봉되었다. 특히 정오는 禪敎 摠攝調提로서 불교계를 주도하면서 국청사 본산을 중흥시켜서 천태종단의 중흥을 모색하였다.
조인규 가문 출신의 의선은 불교계에서는 드물게 三藏法師 慈恩君으로서 묘련사를 중심으로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하지만 공민왕대 이후 의선의 문도나 관련이 있는 천태종 고승들이 수원 만의사를 중심으로 근기지방 일대에서 종단을 주도하였다. 예컨대 天台宗事 熙菴과 天台判事 福利君 懶菴元公, 天台都大禪師 了圓, 奉福君 神照, 大天台宗師 玄見, 禪敎統攝 空庵祖丘 등이 바로 그들이다. 그들은 백련사의 결사정신을 되살리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의 전개에서 종단은 기존의 천태종과 중앙의 묘련사파의 소자종과 백련사계의 법사종으로 분파되었던 듯하다.
조선 건국직후 1394년(태조 3)에 공암조구가 국사로 책봉되어 조계종과 더불어 잠시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하지만 태종의 불교탄압과, 세종의 선교양종 체제 실시로 천태종단은 다시 통합되었다가 곧 조계종으로 흡수되었다. 그러한 가운데 고승 判禪宗事事 중호와 天台宗師 행호가 천태종계를 주도하였으며, 특히 행호는 백련결사의 본산이었던 백련사를 중창하여 천태종을 중흥하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uddhistic history of Ch’ontae School prior to the merger of several branches in early Chosun since its foundation. There had been five including Gukchong Temple which is the national precepter operated since Uicheon founded the administration. As a remarkable accomplishment during that time, newly implemented Monk's Examination system led to the emergence of venerable monks centered on Gaekyoung. In the early period of Military Rule, not only the association in Gaekyoung but also others centered on Baekryeonsa Temple had led Korean Buddhist community with Sooseonsa(修禪社 結社) monk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Yuan Dynasty’s interference, venerable monk Jeongjoyian had led the administration as Seokgyo Dochongseop(都摠攝) settled on Temple Myoryŏn and as royal precepters, Won Hye and Jeongo were designated. As leader of dhyāna, Jeongo led the buddhist circle by restoring the main Gukchong Temple, seeking reunion of Cheontae School.
Uiseon from Cho Ingyu’s family served the buddhist circle as Sānzàng Fǎshī Zaeunkun settled on Temple Myoryŏn. However, ever since the rule of King Kongmin, high priests of Ch’ontae School including Mundo led the circle based on Manuisa Temple in Suwon. There were more such as Heeam, Bokrikum, Naamwon, Yowon, Shinjo, Hyunkyun, and Kongamzoku. Those are all having tried to reinvigorate the spirit of association and under the circumstances it seems to be divided into Ch’ontae, Sojhia of Myoryeon Temple, and Beopsa of Baekryeonsa Temple.
Right after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in 1394, Kongamzoku was designated as a master, leading the buddhist circle for a while. However, King Taejong’s suppression on the religion and King Sejong’s new policy recommending both Seonjong and Kyojong to reunite, made them into one Ch’ontae sect and shortly again, it changed itself to Jogye. During the period, the highest priest Chungho and Ch’ontaejonsa Haengho had led the circle. Haengho tried to promote Ch’ontae by reestablishing Baekryeonsa Temple.

目次Ⅰ. 들어가는 말 231
Ⅱ. 고려 중기 천태종의 창종과 결사 232
1. 고려 중기 종단의 창종과 전개 232
2. 무신집권기 종단과 백련결사 도량 236
Ⅲ. 고려후기⋅조선초 천태종의 분화와 통폐합 239
1. 원 간섭기 묘련사파와 국청사 239
2. 여말선초 종단의 부상과 통폐합 243
Ⅳ. 나가는 말 247
ISSN12250945 (P)
點閱次數78
建檔日期2021.10.19
更新日期2021.10.1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532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