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연기의 구성주의 철학적 재구성=A reconstruction of Pratītyasamutpāda from a constructive point of view
作者 홍성기 (著)=Hong, Sung-Ki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73 n.0
出版日期2015.02
頁次69 - 10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교수
關鍵詞연기; 구성주의=Constructivism; 환원불가능성; 십이연기=Twelve-fold Causal Nexus; 재구성=Reconstruction; Irreducibility of Pratītyasamutpāda
摘要이 논문은 불교의 핵심 교리인 연기가 다른 기존의 철학적, 상식적 개념으로 환원될 수 없음을 논증한다. 「大緣方便經」에서 아난은 세존에게 ‘자신의 견해에 의하면 십이연기는 눈앞에 있듯 분명하다’라고 주장하지만, 세존은 아난의 견해를 즉각 비판한다. 아난의 오류라고 부를 수 있는 이 에피소드는 용수의 중론송에서 논파전락으로 다시 등장한다.(게송 4.8, 4.9) 우리는 같은 맥락에서 연기를 인과론적, 시간적, 논리적 관계로 보는 해석을 논파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논리적 관점에서 볼 때, 연기가 하나의 전체에 경계를 긋는 행위와 완전히 동일함을 보여줄 수 있다. 즉 사물간의 경계란 내적으로 모순을 갖고 있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며, 따라서 이 세계의 사물 간의 경계는 실체론적으로 있을 수 없다. 즉 경계란 자의적이며 존재론적이 아니라 인식론적으로만 의미가 있다. 십이연기에 대한 구성주의적, 유식론적 해석을 통하여 불교적 세계관의 전일론적 성격이 분명해진다. 우리는 불교의 전일론적 존재론과 연기의 근본구조를 철학, 종교, 과학의 여러 영역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main doctrine of Buddhism, Pratītyasamutpāda(緣起), also known as ‘interdependent co-arising’ is not reducible to some other philosophical concepts that exist already. In a dialogue between Buddha and his pupil Ananda in the Maha-nidana Sutta(大緣方便經), the doctrine Pratītyasamutpāda only can be interpreted solely from its root of own definition. This Dialogue in the Maha-nidana Sutta is in its contents equivalent with the two key strategic utterances of Nagarjuna’s Madhyamaka-kārikā(中論頌, 4.8, 4.9). In the same context we can criticize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f Pratītyasamutpāda with concepts of causal, temporal and logical relations.
From a logical point of view, we can show that the idea of Pratītyasamutpāda is totally equivalent with the act of partitioning upon the idea of entity or a whole, which is like building a boundary within the whole. It is logically impossible to say that the boundary exists realistically as the junction of these two side parts, which is the result from the act of partitioning. There is no boundary between any two objects in the world and perhaps the concept relies on arbitrary and man-made illusions. Therefore the concept of a boundary is internally contradictory and does not stand in a realistic background. Through the constructiv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welve-fold causal nexus(十二緣起), it becomes clear that the buddhistic view of the world is about understanding how to see it in a holistic perspective. As a result, we can apply this holistic ontology of Buddhism and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Pratītyasamutpāda to many areas of philosophy, religion and sciences.
目次Ⅰ. 「大緣方便經」에서 아난의 오류 71
Ⅱ. 연기를 인과론으로 해석할 때의 오류 73
1. 상식적 인과론 비판 73
2. ‘원인’과 ‘결과’의 실재성 비판 73
Ⅲ. 연기의 시간적 해석과 논리적 해석 비판 76
Ⅳ. 연기와 경계의 동일성 81
1.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경계 해석 82
2. 불교적 경계 비판 83
Ⅴ. 아난의 오류와 용수의 논파전략 86
Ⅵ. 십이연기의 재구성과 각 지분들의 관계 89
1. 相의 형성 90
2. 개체화(Individuation)의 문제점 92
3. 십이연기의 개체화 재구성 94
4. 십이연기 지분들의 관계 98
Ⅶ. 결어 99
ISSN12250945 (P)
點閱次數71
建檔日期2021.10.19
更新日期2021.10.1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533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