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십이연기 전개설 비판 -- 『DN 15경』을 중심으로 =The Critical Study on the Theory of the Process of Development about Paṭiccasamuppāda -- Focused on the text of Mahānidānasutta (『DN 15』)
作者 우동필 (著)=Woo, Dong-pil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72 n.0
出版日期2014.12
頁次153 - 18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전남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關鍵詞연기=Dependent origination; 십이연기Paṭiccasamuppāda; 전개설; 유위; 삼계; the Process of development; Mahānidānasutta; Schmithausen
摘要슈미트하우젠(L. Schmithausen)을 비롯한 유럽의 주요 연구자들은 十二緣起展開說을 주장한다. 슈미트하우젠은 『Mahā-nidānasutta』(『DN 15경』)에 六入處가 ‘觸, 受’에 내재되고, ‘無明, 行’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9지 혹은 10지 형식이 십이연기 전개의 중간 단계를 보여주는 결정적인 증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는『DN 15경』의 특성과 후반부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DN 15경』의 특성을 고려할 때, 육입처가 촉, 수에 내재된 것은 개인의 苦뿐만 아니라 개인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다툼, 분쟁과 같은 세상의 苦를 함께 해명하기 위한 것이다. 육입처가 개인들에게 내재되지 않으면, 동일한 사태에 대해 개인들이 왜 서로 각각 다른 느낌과 갈애와 취착을 가지는가를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DN 15경』에서 육입처를 개인들에게 내재시킨 이 부분은 오히려 붓다의 정합성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또한『DN 15경』에서 무명과 행이 표면적으로는 드러나지 않은 이유는 후반부의 설명이 전반부의 識과 名色이 순환되는 근본원인을 해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후반부는 三界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삼계는 有爲에 의해 조작된 것이다. 行은 유위를 통해 삼계를 조작하며 결국 식과 명색의 조건이 된다. 삼계를 벗어나는 것은 般若(paññā)이고 반야를 알지 못하는 것이 삼계의 想(saññā)이다. 무명은 상을 통해 無明觸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무명을 연하여 행이 있게 된다. 『DN 15경』의 연기에 대한 설명은 십이연기와 다른 설명이 아니며 십이연기의 내적 체계성을 바탕으로 나타난 설명인 것이다. 따라서 십이연기 전개설의 ‘도입’(inception)은 재고되어야 한다.

Lambert Schmithausen representatively asserts the ‘evolution theory’ (展開說) about paṭiccasamuppāda(十二緣起) with some major researchers of Europe. He argues that 9-links or 10-links is a decisive evidence to reveal the middle stage of 12-links, because saḷāyatana(六入處) is inherent in phassa(觸), vedanā(受), and avijja(無名), saṅkhāra(行) is lacked in Mahānidānasutta(『DN 15』). However, he tries to interpret them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the second half about 『DN 15』. To the consideration of a unique characteristics of 『DN 15』, the coherence have to be set out so in a way that saḷāyatana is inherent in phassa and vedanā, as it is to clarify why it occur dukkha(苦) such as the discord and dispute in world(世間) including dukkha of individual. If saḷāyatana isn’t with inherent in phassa and vedanā, it is not able to account for why individuals take different vedanā, tanha(渴愛) and upādāna(取) each other in same things. Also the second part is to suggest on the basis of tidhātau (三界) that is manipulated by saṅkhata(有爲), which means for saṅkhāra to be qualification of viññāṇa and nāmarūpa in the first part.; paññā(般若) means deep insight into tidhātau and saññā(想) is not to aware it.; saṅkhāra is required avijja because avijja arises out of avijjāsamphassa(無 明觸) by saññā. To conclude, the inception of the theory of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fered by Schmithausen is not suitable to understand paṭiccasamuppāda, for it has a coherent system that can not be seen with that presupposition.
目次Ⅰ. 서론 155
Ⅱ. 십이연기 전개설 158
1. 후라우발러의 두 가지 계열의 조합 159
2. 슈미트하우젠의 세 가지 계열의 조합 162
Ⅲ. 『DN 15경』의 십이연기 164
1. 육입처의 내재와 두 가지 애의 관계 165
2. 무명⋅행의 결여와 7식주2처⋅8해탈의 관계 170
Ⅳ. 결론 179
ISSN12250945 (P)
點閱次數108
建檔日期2021.10.20
更新日期2021.10.2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535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