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石顚과 漢岩을 통해 본 불교와 시대정신=Buddhism and Zeitgeist seen with Seogjeon(石顚) and Hanam(漢岩)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71 n.0
出版日期2014.09
頁次63 - 95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아사리
關鍵詞석전=石顚=Seogjeon; 한암=漢岩=Hanam; 대처=帶妻=Wife-taking; 계율=戒律=Eiscipline; 선=禪=Zen; 조계종=曹溪宗=Jogyejong;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Japanese colonial period; 계학약전=『戒學約詮』=Gyehag Yagjeon; 출가주의=出家主義=Home-leaving principle; 선계일치=禪戒一致=Seongye Ilchi
摘要일제강점기 한국불교는 메이지유신 초에 娶妻.肉食이 완전 허용된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청정한 출가승단의 전통이 위기에 직면한다. 당시 불교지식인들은 조선조의 무력한 한국불교에 대한 자기비판과, 강국 일본의 위상을 후광으로 가진 일본불교를 비교하며, 무분별한 일본불교 배우기에 앞장선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한용운이다. 한용운은 총독부에 帶妻에 대한 건의서까지 제출하면서, 한국불교를 일본불교와 같이 선진화시키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이것은 한국불교의 전통을 무너트리는 오판이었다.
石顚은 일제강점기 禪.敎.律에 능한 최고의 敎學 승려로써, 대처가 문제되자 戒律교육을 통해 일본불교의 영향을 막아내고자 한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저술이 『戒學約詮』이다. 또 석전은 스스로도 청정한 戒行을 지켜, 승려로서의 반듯한 모범을 보인다. 이와 같은 석전의 불교계 위상은, 1929년과 1946년에 한국불교의 최고 어른인 敎正에 추대되도록 한다.
漢岩은 석전과 조금 늦은 동시대인으로, 일제강점기 禪수행의 최고 경지에 이른 분이다. 한암은 禪師들이 등한시하기 쉬운 敎學과 戒行에도 철저했다. 그로 인하여 스승인 鏡虛의 남성적인 禪風과는 다른, 부드러운 여성적인 선풍을 개척하게 된다. 특히 한암의 선풍은 엄격한 계율과 결함되어 ‘禪戒一致’라는 독특한 경계를 정립한다. 이러한 禪戒一致의 청정한 선풍은, 오늘날 선진국으로 접어드는 한국사회에 있어서 가장 적합하고 귀감이 되는 수행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암의 敎學과 律에도 능통한 禪師로서의 모습은, 한국불교의 사표가 되기에 충분했다. 그래서 1929년.1935년.1941년.1948년, 이렇게 무려 4차례나 敎正과 宗正이라는 한국불교의 최고 지위에 오르게 된다.
석전과 한암은 일제강점기와 해방직후 한국불교를 주도했던 분들로, 오늘날 한국불교의 초석을 다지신 분들이다. 그러므로 미래로 나아가는 한국불교에 있어서, 이 분들의 가르침은 더 없는 이정표가 될 것이다.

Under the Japanese Buddhism that fully allowed monks to take wives and eat meats in the early Meiji Restoration, Korean Buddhism faced a great crisis in keeping the pure tradition of home-leaving saṃgh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ose days, many Buddhist scholars led the reckless movement to learn the Japanese Buddhism, criticizing the powerless Korean Buddhism and comparing it with Japanese Buddhism actively supported by mighty Japanese government. The typical person was Han Yong-wun. He made effort to make Korean Buddhism ‘advanced’ as like Japanese one, sending the Japanese Governor a letter of suggestion about the monk’s wife-taking. But, it was a wrong judgment that destroyed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Seogjeon(石顚), a monk in the age of Japanese colony, was one of the most excellent Buddhist scholars who was expert in Zen(dhyāna), Doctrinal(vinaya) and Disciplinary(śīla) Buddhism. When the wife-taking became an issue, he tried to block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rough the disciplinary education. The result was his book . Furthermore, Seogjeon himself kept on the pure disciplinary way of life, showing an upright standard for monks. With this, Seogjeon’s status went high in the Buddhist world and he was elected as Gyojeong(敎正) the highest master of Korean Buddhism in 1929 and 1946.
Hanam(漢岩) was a little younger than Seogjeon. Hanam became the supreme Zen master in those days. He was very strict in the doctrine and the discipline which had been frequently neglected by other Zen masters.
Due to this, he came to develop the soft and rather feminine style of Zen while his master Gyeongheo(鏡虛) showed the masculine style of Zen.
Especially, Hanam’s Zen style was combined with the strict discipline to establish a peculiar range named ‘Seongye Ilchi(禪戒一致, unity of Zen-Discipline).’ This fresh Zen style of Seongye Ilchi is noteworthy for a very appropriate and desirable practice method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which is going into the advanced one.
Hanam was so expert in Doctrinal and Disciplinary Buddhism as well as Zen that he became a good model of Korean Buddhism. Therefore, he became Gyojeong and Jongjeong(宗正) of Korean Buddhism four times in 1929, 1935, 1941, and 1948.
Seogjeon and Hanam were the leader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right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laying the foundations of present Korean Buddhism. Their teachings will be a good guideline for the Korean Buddhism that is preparing the future development.
目次Ⅰ. 序論-출가주의에 대한 재가주의의 도전 65
Ⅱ. 일제강점기의 계율문제 68
1. 일본불교의 침탈과 한국불교의 정체성 68
2. 한용운의 帶妻주장과 판단착오 71
Ⅲ. 석전과 한암의 계율정신 72
1. 석전의 『戒學約詮』 편찬 72
2. 한암의 禪戒一致와 4차례의 敎正과 宗正 79
Ⅳ. 結論-시대적 요청과 조계종의 미래 88
ISSN12250945 (P)
點閱次數63
建檔日期2021.10.20
更新日期2021.10.2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536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