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석전 박한영 강백의 교학 전통 -- 『화엄경』십지품」과 『선문염송집』연찬을 중심으로 =Master Instructor “Seokjeon” Park Han-young’s Tradition of Studies of Buddhist Theories -- Focusing on studies in “The Chapter of the Ten Stages” in The Gaṇḍavyūha-sūtra (『華嚴經』「十地品」) and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作者 신규탁 (著)=Shin, Gyoo-tag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70 n.0
出版日期2014.06
頁次71 - 10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교수(중국 화엄 및 선불교 전공)
關鍵詞석전 박한영=“Seokjeon(石顚)” Park Han-young(朴漢永); 선교겸수=Convergence of Zen Practice and Theoretical Study; 조선의 화엄학 연구=Studies on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in Joseon; 『화엄경』 「심지품」=“The Chapter of the Ten Stages” in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十地品」; 『선문염송집』=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摘要조선 후기에는 화엄학에 대한 교리적 연구와 선 수행이 병행되었다. 이렇게 선교를 병행하여 연구하는 전통은 20세기에 활동하던 石顚 朴漢永(1870~1948)에게도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전통을 확인하기 위하여 박한영이 편집하고 간행한 두 계통의 ‘강의용 문서’를 조사했다. 하나는 화엄교학에 관계된 ‘科目’ 모음집이고, 또 다른 하나는 『門拈頌集』과 『拈頌說話』를 會編하여 精選한 책이다.
고려 말엽 眞覺 慧諶(1178∼1234)은 『선문염송집』을 편집했는데, 그의 제자 覺雲은 그 책에 주석을 붙여 『염송설화』를 저술하였다. 조선 말엽 白坡亘璇(1767~1852)은 위의 두 책을 대본으로 훈고적 주석서를 썼다. 예부터 이 주석서를 ‘私記(사적인 기록)’라 이름한다. 우리는 이 ‘사기’를 통해 당시의 학승들이 선 문헌을 어떻게 연구했는지를 알 수 있다.
한편, 17세기 조선의 전라도 지역에서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가 판각되는데, 당시의 화엄학승들은 그 책에 관한 ‘과목’ 모음집을 간행한다. 이와 더불어 그 책을 대본으로 훈고적 주석서인 ‘사기’를 저술했다. 이런 일들은 주로 雪坡 尙彦(1707~1791)과 그의 영향을 받은 전라도 일대의 학승들이 주도했다.
이상과 같은 역사적 전통 속에서, 당시의 승려들은 선교를 병행하여 강의하였다. 이런 강의 전통은 조선의 사상계에도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 학승들은 선교일치의 입장에서 각종 저서를 내놓았다. 그리고 이런 전통은 계속되어 일제강점기에도 이어졌으니, 그 전통에 서 있는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석전 박한영이다.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zen practice is accompanied by studies of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This tradition of combining practice and study can be also found in the activities of “Seokjeon(石顚)” Park Han-young(朴漢永; 1870-1948) in the 20th century. In this essay, I investigated “documents for lectures” in two different types that were edited and published by Park Han-young – a collection of “topics” related to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and a compilation selected from Seonmunyeomsongjip and Yeomsongseolhwa.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was edited by Jingak Hyeshim(眞覺慧諶; 1178-1234)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His disciple Gakwoon(覺雲) added an notations to the book and published it as Yeomsongseolhwa(『拈頌說話』).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ekpa Geungseon(白坡亘璇1767-1852) wrote a commentary based on exegetical studies comparing these two books. This kind of commentary is traditionally called Personal Explication(私記). These Personal Explications enable us to glimpse how scholarly monks of those days studied zen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Hwaeomgyeongsusoyeonuicho(華嚴經隨疏演義鈔) (Commentary on Eliciting the True Meaning of The Gaṇḍavyūha-sūtra)was engraved in the Jeolla-do region, and scholarly monks who studied The Gaṇḍavyūha-sūtra published a collection of “topics” related to this book. In addition, Personal Explications of exegetical commentaries based on this book were written. These studies were mainly led by Seolpa Sangeon (雪坡尙彦; 1707-1791) and scholarly monks in the Jolla-do region who were influenced by him.
In this tradition, monks of those days gave lectures combining zen practice and studie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Joseon period. As the result, scholarly monks inheriting this tradition published various books supporting the convergence of zen practice and study in literature. This tradition continued to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culminating in Park Han-young’s studies.

目次Ⅰ. 머리말 73
Ⅱ. 화엄 강학과 병행된 선서의 문헌 연구 75
Ⅲ. 석전 강백에 의한 화엄과 선의 선양 81
1. 『화엄경』「십지품」 과목의 계승과 유포 82
2. 『선문선송』의 현토 및 강의 87
Ⅳ. 맺음말; 선⋅교에 대한 석전 강백의 입장 96
ISSN12250945 (P)
點閱次數117
建檔日期2021.10.21
更新日期2021.10.2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540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