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중국불교사의 연구동향과 전망=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Prospect of the Chinese Buddhism
作者 장애순 (著)=Jang, Ae-sun (au.) ; 장미란 (著)=Chang, Mi-ran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68 n.0
出版日期2013.12
頁次209 - 23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장애순(계환): 동국대학교(서울) 불교대학 교수
장미란: 동국대학교(서울) 교양교육원 교수
關鍵詞중국불교사; 연구방법=Research method; 연구현황=Research status; 중국불교=Chinese Buddhism; Chinese Buddhism
摘要국내외의 2000년 이후의 중국불교사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물들을 조사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전망과 기대를 밝혔다.
먼저, 국내는 근세 이후의 시기와 거사나 민중의 불교, 정토 관련 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다면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연구경향이 커졌다. 또한 불교내ㆍ외의 연구경향에 차이를 보이는데, 불교학내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중국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로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통찰하려는 논문이 점차 많아지는 추세이다. 한편, 중국학분야에서는 중국의 역사, 사상 등을 고찰하는 데에 하나로 다루는 것이 대부분이다.
다음으로 국외의 연구이다. 중국은 불교가 그들의 사상이며 종교의 하나가 되어, 중국 전체상에서 불교를 증명하고 있다. 특히 종교학이나 신앙의 측면에서 연구되는 부분이 눈에 띈다. 일본은 민중신앙, 정토학, 거사불교 등 일본불교와 연관되는 것에 편중되어 있다. 서구에서는 역사 속에서 변형되고 신앙되는 불교연구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경향을 띤다.
중국불교의 특성을 보면 중국학, 불교학, 인도학, 종교학이 깔려 있다. 학문의 보편성을 근본원칙으로 삼아 연구하는 자세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국불교의 연구는 중국사 또는 중국사상사 전반에 대한 통찰력 없이, 불교사 또는 불교사상사 내에서 어느 한 면만을 살펴보아서는 안 된다.
앞으로의 중국불교연구는 중국사, 중국사상사, 중국종교사, 중국문학사, 티벳불교 등과 관련된 문제를 고려하고, 중국미술사를 비롯하여 문학작품과 道敎史 내지 茶道史, 고고학적 연구 등 연관 학문의 지식들을 총동원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국불교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각 시대에 걸친 민중신앙, 불교음악, 윤리관, 연중행사, 불교의례 등이 좀 더 다양하고 폭넓게 다루어지고 해명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rospect and summariz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chievements and performance on the Chinese Buddhism study that they had performed until a recent data since the 2000s.
Considering already conducted domestic studies and researches, the authors wer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interests about Buddhist devotee's(居士, Grhapati) Buddhism, modern era period, Popular(民衆) Buddhism, and Pure Land(淨土) Buddhism were arisen and the studies and researches were multifaceted and macro-scoped. The research and study trend of Buddhist community and Non-Buddhist community were quite different as well.
For the foreign studies and researches, Chinese defines Buddhism as their thought and religion. Especially most of studies’ conducting views are science of religion or their beliefs. Japanese researches and studies much more lean to the relations between Japanese Buddhism and subjects such as popular belief, Pure Land Buddhism, and Grhapati Buddhism. For the western countries’ studies and researches are generally about historical changes and belief of Buddhism.
One of distinctions is that the Chinese Buddhism is based on Sinology, Buddhist Studies, Indology, and the Science of Religion. The study of Chinese Buddhism has to be proceeded with the universal approaching attitude. This means without studies about Chinese history and Chinese thought, the studies of Chinese Buddhism can not be
progressed.
For further studies about Chinese Buddhism should be considered histories of China, Chinese thought and philosophy, Chinese religion, Chinese literature, Tibet Buddhism and related problems. Also it needs to be conducted the related studies about Chinese arts and literature, Taoism, tradition tea ceremony culture, and the Archaeological Study. For the exploration of essence of Chinese Buddhism, it also have to be considered periodical changes of popular beliefs, Buddhist music, ethical belief, annual events, and Buddhist rituals.
目次Ⅰ. 서언 211
Ⅱ. 중국불교의 성립배경과 독자성 212
1. 중국불교 성립의 역사적 배경 212
2. 중국불교의 독자적 성격 214
Ⅲ. 연구동향 215
1. 국내 215
1) 2000년 이후의 연구현황 215
2) 연구동향 219
2. 국외 222
1) 중국 222
2) 일본 225
3) 서구 227
Ⅳ. 과제 및 전망 230
ISSN12250945 (P)
點閱次數229
建檔日期2021.11.04
更新日期2021.11.0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689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