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경희궁 숭정전과 조동종 조계사․대학선원=Sungjungjeon in Gyeongheegung Palace and Jojongdong Jogyesa Temple, Daehak Seonwon
作者 황인규 (著)=Hwang, In-gyu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65 n.0
出版日期2013.02.28
頁次7 - 38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서울) 역사교육과 교수
關鍵詞경희궁=Gyeongheegung Palace; 숭정전=Sungjeongjeon; 조동종 조계사; 대학선원=Daehak Seonwon; 조명기=Myeonggi Cho; 대학선원=Daehak Seonwon; Jodongjong; Jogyesa Temple
摘要본고는 현재 동국대 불교 법당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각원의 역사를 조명한 연구이다. 정각원은 광해군에 의해 경덕궁의 정전인 융정전으로 창건되어 인조 3년 개명된 것이며, 경덕궁은 영조대 경희궁이라 개명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崇政殿은 경희궁의 정전이었다. 정조대 왕이 경희궁에 한 번도 移御하지 않았으며, 순조 29년(1829) 10월에 화재로 융복전 등이 전소되었다. 戶曹와 선혜청의 대동미를 崇政殿 行閣에 보관하는 등 고종대 이후 점차 궁궐로서의 위상을 잃어갔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경복궁과 창덕궁 등 궁궐이 심하게 철훼되어 갔다. 특히 1910년 경성중학교가 세워지면서 숭정전은 1924년까지 교실로 사용되었다.
그 후 본교가 위치한 남산 기슭에는 일본 조동종 사찰인 無量壽山 曹鷄寺가 들어서면서 경희궁의 전각 등이 매입 이건하였다. 숭정전은 조계사 본당으로 회상전은 주지 법무실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이와 아울러 조계사의 정문은 평양 풍경궁의 문인 황건문을 이건되었으며, 해방후 본교 기숙사로 사용된 박문사의 정문도 숭정전의 정문인 흥화문이었다.
조계사는 1908년 조동종 日韓禪寺라고 하였다가 무량수산 조계사로 개칭되었다. 일본이 패망하자 조동종 관장 사또가 일본으로 귀국하면서 불교학자 조명기에게 조계사와 국화유치원 등을 양도하였다가 본교의 필동교사 신축시 본교의 교사로 이관되었다. 즉, 조계사 본당인 숭정전은 강의실로, 조계사의 정문인 황건문은 본교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숭정전은 1976년 에 현 위치로 이건되어 불교법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황건문은 학생회관 신축시 헐려서 그 목재가 부여 무량사로 이전되었다. 현 동국대 사범대 학림관 터에 있었던 대학선원은 1963년 발족한 현 정각원의 전신으로 본교의 불교 교육 및 포교의 구심점이었다.


This paper covers the history of Jeonggakwon, a Buddhist sanctuary of Dongguk University. The Jeonggakwon temple was established as a Yungjeongjeon, a previous main sanctum of the Gyeongdeokgung Palace by Gwanghaegun, which changed its name in the 3rdyearofKingInjo. Since then, the Gyeongdeokgung Palace change ditsname to Gyeongheegung Palace during theera of King Yeongjo. The Sungjeongjeon is the main hall of the Gyeongheegung Palace. Since King Gojong by storing daedongmi rice and goods in the pavilion of Sungjeongjeon. In particular, palaces including Gyeongbokgung and Changdeokgung were severely damag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urther, Gyeongseong Middle School was established in 1910 and the Sungjeongjeon was used as a classroom up until 1924.
Subsequently, the Muryangsusan Jogyesa Temple was built on the hill of Mt. Namsan, where the university is located, and the royal palace of Gyeongheegung and other buildings were sold and relocated. Sungjeongjeon is the main building of the Jogyesa Temple and was used as an office by the chief Buddhist monk.
The Jogyesa Temple was called the Ilhan Seonsa of Jodongjong in 1908; however, it later changed its name to Muryangsusan Jogyesa. Satoh, the master of the faction, came back to Japa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nd transferred ownership of the Jogyesa Temple and Gukhwa Kindergarten to Myeonggi Cho, who was a Buddhism scholar; he also moved to the school building in Pildong. Sungjeongjeon was moved to the current position in 1976 and has been used as a Buddhist sanctuary; yet, the Hwanggeonmun Gate was demolished in order to newly build the students hall and its woods were moved to the Muryangsa Temple in Buyeo.
Daehak Seonwon, located in the fields of Hakrimgwan Building in the School of Education at Dongguk University, was the former Jeonggakwon, which was established in 1963 and was a center of educating and distributing Buddhism.
目次Ⅰ. 들어가는 말 10
Ⅱ. 조선후기 경희궁과 숭정전 10
Ⅲ. 일제강점기 경희궁과 조동종 조계사 16
Ⅳ. 광복후 동국대 강의실(숭정전)과 대학선원 24
Ⅴ. 나가는 말 33
ISSN12250945 (P)
點閱次數83
建檔日期2021.11.10
更新日期2021.11.1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720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