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한국근대불교 연구의 과제와 전망=Research Agenda and Prospect on Modern Korean Buddhism Research
作者 조성택 (著)=Cho, Sung-taek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64 n.0
出版日期2012.12.31
頁次79 - 101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근대불교=Modern Buddhism; 세계불교=World Buddhism; 한국근대불교=Modern Korean Buddhism; 친일불교=Pro-Japanese Buddhism; 종교 환경=Religious environment
摘要본고에서는 근대불교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작업적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근대불교’는 개인, 자유, 인권, 민족 등 불교 외적인 근대적 요소로부터 도출되는 연역적 개념이 아니며, 따라서 특정한 형태(교단, 교리 등)의 불교를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다.
둘째, ‘근대불교’는 근대공간이라고 하는 새로운 종교 환경에 대한 다양한 반응과 적응의 방식을 통해 귀납적으로 정의되는 구성적 개념이다.
셋째, 근대불교는 한국사의 일부이자 불교사의 일부이다. 근대불교는 전통적 불교권인 동아시아 내에서만이 아니라, 새로운 불교권인 북미와 유럽을 포함하는 범불교 담론의 네트워크를 고려해야 한다. 이른바 ‘세계불교’(World Buddhism)라고 하는 불교를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의 등장이 근대불교의 한 특징이 되고 있다.
한편 근대불교는 불교 내부의 추동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유럽의 불교 ‘발견’이라고 하는 외부적 ‘충격’에 의한 불교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근대불교에 대한 논의는 유럽이 재구성한 ‘부디즘’에 대한 아시아 지역불교의 대응과 반응을 살펴보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suggesting some working hypotheses which could be the first step to define the concept of modern Buddhism. Firstly 'modern Buddhism' is not a deductive concept defined by other factors besides Buddhism such as individual, freedom, human right and ethnic group. This means that the concept does not refer to a particular type (order, religious dogma) of Buddhism. Secondly, 'modern Buddhism' is a constructive concept, inductively defined by various reactions and adaptations happened in a new religious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In history of Buddhism, the term 'Mahayana Buddhism' is a good example of inductive definition. Thirdly, 'modern Buddhism' is a part of the history of both Korea and Buddhism. In other words, it has to involve a whole network of discussions not only from East Asia, traditional Buddhist countries, but also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new Buddhist countr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odern Buddhism' was not an internal event caused by impetus within Buddhism such as Mahayana Buddhism or Zen Buddhism. Therefore, the themes of the discussion on modern Buddhism would be characteristic of Buddhism discovered (or created) by Europeans as well as Asian's responses and reactions to it.
目次I. 서론 82
II. 한국근대불교 연구의 당면 과제: ‘근대불교’의 개념 정의와 연구시야의 확대 86
III. 결론: 한국근대불교 연구를 위한 제언과 전망 98
ISSN12250945 (P)
點閱次數80
建檔日期2021.11.11
更新日期2021.11.1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724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