쫑카빠=Tsong kha pa; 이당뀐시까델=Yid dang kun gzhi’i dka’ ’grel; 원측=Wentsheg [:Wǒnch’ǔk]; 해심밀경소=the Commentary o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냐왼 뀐가뻴=Nya dbon Kun dga’ dpal; 쫌덴 릭뻬렐디 달마겔첸=bComldan rig pa’i ral gri Dar ma [: Chos kyi] rgyal mtshan
摘要
본고는 원측의『해심밀경소』가 쫑카빠의 유식관련 저서인 이당뀐시까델에끼친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쫑카빠는 이당뀐시까델 중 九識說부정과 관련한 내용에서 원측의『해심밀경소』를 토대로 보리류지, 진제, 현장 및 원측의 심식설을 소개하고 있다. 첫 번째로 쫑카빠는 이당뀐시까델에서 ‘칠식설’의 대변자로 보리류지를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쫑카빠가 소개한보리류지의 칠식설은 원측 당시의 중국 학승들이 이해한 보리류지 이후의‘地論北道派’의 심식설이다. 이를 통해서 지론북도파의 심식설을 보리류지의칠식설로 소개한 쫑카빠의 이해는 원측의 소에 의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대승기신론』과『능가경』의 영향을 받은 섭론학파들의 ‘구식설’을 진제의 설로 귀결시키고 이러한 구식설을 부정한 원측의 견해를 쫑카빠가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원측의 교의에 의거해서 ‘팔식설’을 유식학파의 정통적인 견해로 바라보는 쫑카빠의 입장이 언급되고 있다. 그리고 원측이 구식설을 주장하였다는 티벳 까담빠의 학승 쫌덴 릭뻬렐디 달마겔첸의 견해를 쫑카빠가 논파하면서, 원측의 심식설을 팔식설로 쫑카빠가 귀결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원측의『해심밀경소』에 나타난 구식설 부정의 내용이 쫑카빠의 저서에도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ǒnch’ǔk’s (圓測 Yuáncè, 613-696 CE) commentary entitled Haesimmilgyeŏngso(Jiěshēnmìjīngshū 解深密經疏) and Tsong kha pa’s (1357-1419 CE) commentary entitled Yid dang kun gzhi’i dka’’grel (the Commentary on Difficulties in Relation to the Intellect and the Ground-of-All). Concerning the theory of mind of Yogācāra School in Buddhism, Tsong kha pa was so influenced by Wǒnch’ǔk that he nominated Bodhiruci (Bo de le’u tsi, Pútíliúzhī 菩提留支,d.527) as the typical representative of the theory of seven kinds of consciousness of Nothern Daśabhūmika Schools (Dìlùn 地論) and that he also designated Paramārtha (Zhēndì 眞諦, 499-569 CE) as the standard representative of the theory of nine kinds of consciousness of the Mahāyānasaṃgraha School (Shèlùn 攝論). Concerning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f Wǒnch’ǔk, the Bka’ gdams pa scholar bCom ldan rig pa’i ral gri Dar ma rgyal mtshan (1227-1305 CE)suggested that Wǒnch’ǔk might have been an advocate of the theory of nine consciousnesses in his writing. But, Tsong kha pa corrected his suggestion in the Yid dang kun gzhi’i dka’ ’grel, evaluating Wǒnch’ǔk as another main supporter of the theory of eight kinds of consciousness beside Xuánzàng (玄奘, 602-664 CE).
目次
I. 서론 302 II. YKzh의 내용 소개와 쫑카빠의 유식문헌 학습과 관련한 논의 303 III. 中觀과 唯識이 佛說이라는 관점에 대한 쫑카빠의 기술과 法流三昧 307 IV. 쭝카빠의 心識說 논의와 원측의 영향 313 V. 결론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