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량치차오의 칸트철학 수용과 불교론=Liang Qi-chao’s Reception of Kantian Philosophy and the Buddhist Theory
作者 김영진 (著)=Kim, Young-jin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55 n.0
出版日期2009.11
頁次273 - 299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關鍵詞량치차오=Liang Qi-chao; 칸트=Immanuel Kant; 진아=Real Self; 통각=Transcendental Apperception; 진여=tathātā (thusness; suchness); 자유=Freedom; 주권=Sovereignty; 민족국가=Nation State
摘要근대 중국의 저명한 계몽사상가 량치차오는 1900년대 열정적으로 서구이론을 소개했다. 특히 철학이나 정치학 이론 등을 간결하고 정확하게 정리하여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불교 이론을 동원하기도 했다. 그는 소개하는 서구 이론과 불교의 유사성을 강조하기도 하고, 때론 불교의 우수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에게 불교는 서구 이론을 중국에 소개하는 도구이기도하고, 서구 근대를 초월하거나 그것에 대항하는 우수한 중국 전통이기도 했다. 량치차오는 1903년 2월부터 일 년여에 걸쳐 칸트철학을 소개하면서 이런 경향을 분명히 드러냈다. 그는 당시 일본에서 眞我로 번역된 칸트 철학의 統覺 개념을 불교 眞如 개념과 비교했다. 그는 진여를 절대적 보편으로 취급하여 절대적 지위를 부여한다. 이것이야말로 절대적 자유를 발휘한다고 말한다. 그는 이것이 인간 자유의 연원이라고 말하고, 인간은 이것에 필연적으로 제약당한다고 말한다. 근대적 민족국가 건설을 염원한 계몽사상가 량치차오는 통각이나 진여 개념에 국가의 주권 개념을 대입한다. 국가에서 절대적 자유와 절대적 의지를 가지는 것은 개인을 초월한 국가주권임을 역설한다. 개인은 이 절대적 주권에 복종할 자유만이 있을 뿐이다. 이렇게 량치차오는 칸트철학과 불교를 연결시키고, 거기다 근대적 국민국가 건설을 위한 절대적 주권 개념을 도입한다.

Liang Qi-chao, a renowned scholar of modern China ardently introduced Western theories to China in 1900s. He was especially good at delivering a concise version of Western philosophy or political theories with precision. In this process, he used Buddhist theories from time to time. He compared Western theories to Buddhist theory in order to emphasize their similarities, but he also underscored the excellence of Buddhism. Buddhism was both a means through which he could introduce Western theories to China, and an excellent Chinese tradition that could render a way to overcome or fight against the Western modernity. When Liang introduced Kantian philosophy from February 1903 and delivered this project for about a year, he clearly manifested this tendency. He compared Kant’s concept of “transcendental apperception”, which was translated as the “real self” in Japan, to the Buddhist concept of tathātā, which is often translated as “thusness” or “suchness” in English. He treated tathātā as an absolute universal, granting it an absolute status. It is what makes an absolute freedom possible. He saw tathātā as the sourceof human freedom and that humans are inevitably limited by it.
Desiring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nation state in China, Liang substituted the concept of national sovereignty with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tathātā. He emphasized that within a nation, national sovereignty held the absolute freedom and absolute will that
transcended individuals. Individuals only had the freedom to yield to this absolute sovereignty. In this way, Liang connected Kantian philosophy to Buddhism, and then introduced the concept of absolute sovereignty into that set of idea, as a means to establish China as a modern nation state.
目次Ⅰ. 머리말 274
Ⅱ. 근대시기 독일철학과 칸트수용 275
Ⅲ. 칸트의 선험적 통각과 불교의 진여 281
Ⅳ. 보편아의 등장과 까르마 이론 285
Ⅴ. 자유의 연원과 신민의 복종 289
Ⅵ. 맺음말 293
ISSN12250945 (P)
點閱次數109
建檔日期2021.11.22
更新日期2021.11.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802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