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智顗의 假 槪念의 硏究=A Study of Chi-i's concept of Jia(假)
作者 池惠卿 (著)=Jee, Hye-kyung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50 n.0
出版日期2008.02
頁次283 - 312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한세대학교 강사
關鍵詞가=假=Jia; 삼가=三假=San-jia; 가제=假諦=Jia-di; 속제=俗諦=Su-di; 성론사=成論師=Cheng-lun-shi
摘要삼제설(三諦說)은 지의 사상의 핵심적인 주장 가운데 하나이다. 지의의 삼제설은 양나라 시대 중국불교계의 핵심적 논의였던 이제(二諦)논의를 배경으로 형성되었다. 당시의 이제 논의 속에서 지의가 이제를 삼제설로 정립할 수 있었던 것은 가(假)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가란 시설(施設), 가명(假名)을 말한다. 본래 임시적 시설의 의미인 가는 성론사들에 의해 제법의 존재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중국의 성론사들에 의해 현상계의 제법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가는 삼론사들에 의해 실체에 치우친 견해로 비판받았다. 그러나 현상계의 제법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대적 열망 속에서 지의에 의해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개념으로 정립된다. 지의는 기존의 삼가설을 하나의 체계로 이해하려고 했으며, 공사상에 입각하여 제법의 존재방식을 모순 없이 설명했다.
단지 제법의 존재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이었던 가는 사교(四敎) 체계속에서 의미의 전환을 갖게 된다. 다양한 방편을 포괄하는 의미로 변함으로써 가는 가제(假諦)가 된다. 가제의 정립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공제(空諦)와 가제(假諦), 진제(眞諦)와 속제(俗諦)가 모두 동등한 진리로 되면서 세간의 진리와 출세간의 진리의 위계가 사라지고, 세간의 진리를 폄하하지 않게 된 것이다. 이는 세간에 대한 긍정적 사유를 낳게 하였고 일상성을 강조하고 현실세계를 존중하는 지의의 세계관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지의의 세계관은 단지 지의에게서만 끝난 것이 아니라 이후 실천정신이 덧붙여져 일상성을 중시하는 선불교 형성의 토대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San-di(三諦: 空,假,中) theory (Three truths theory) is an essential doctrine in Chi-i's religious-philosophical system.. This core theory of Chi-i started with strong association with Er-di(二諦) theory (Two truths theory) in Liang(梁) Dynasty(502-557). Under his profound understanding on the two truths from a stanza (number) in Nāgārjuna's Fundamental Treatise on the Middle Way (中論, Mūlamadhyamakakārika), he proposed rather three truths theory to understand Buddhist ontology in harmonious and systematic way (圓融).
Jia(假) originally means a fictitious name or the nominal in Indian buddhism. However, in the later period(南北朝), this concept has expanded to explaining as the way how phenomena exist in general by Cheng-lun-shi(成論師). However, it is criticized by Sam-lun-shi(三論師). According to them, this way of understanding Jia could be an extreme of Substantialism. With inhering previous discourses, Chi-i tries to understand the theory of san-jia(三假)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hat is, he tries to flawlessly explain phenomena by means of emptiness.
In Chi-i's system, the meaning of Jia, which merely explained the mode of existence of phenomena in other schools' systems, is transited under his system of four teachings (四敎). He views Jia as one of three truths with kong(空), zhong(中), not a tool merely explaining the mode of existence. The establishment of Jia as Jia-di(假諦) has two significant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First, by means of introducing Jia-di as one of three truths, the distinction between conventional and ultimate truths become invalid, and this holistic view enables to see the conventional truth equally important with the ultimate truth. It induces people to positively see the phenomenal world, when it completes Chi-i's system of emphasizing the truthfulness of everyday life. Second, this perspective heavily influences on Ch'an School. With developing its practicality based on Chi-i's view of affirming
the phenomenal world as a truth, Ch'an School develops its unique way of living and practicing in the world non-dualistically.
目次Ⅰ. 서론 285
Ⅱ. 假의 의미 287
1. 虛妄顚倒의 假 287
2. 기존의 三假 논의의 종합 290
Ⅲ. 假 개념의 전환 295
1. 四敎에 따른 假의 이해 295
2. 하나의 진리로서의 假 300
3. 일상세계의 긍정 303
Ⅳ. 결론 307
ISSN12250945 (P)
點閱次數48
建檔日期2021.11.24
更新日期2021.11.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812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