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大念處經)의 수행관 고찰=A Study on the Practice Theory of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作者 林承澤 (著)=Lim, Seung-taek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37 n.0
出版日期2004.05
頁次31 - 6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關鍵詞대념처경=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사념처=Cattāro Satipaṭṭhānā; 마음지킴; 알아차림; 위빠사나=vipassanā; Sati; Sampajañña
摘要이 논문은 전형적인 초기불교의 실천체계로서 ‘사념처(cattro satipahn)’ 수행법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 Mahsatipahna-Suttanta에 관한 연구물이다. 특히 이 사념처 수행은 남방불교(上座部, Theravda) 위빠사나(觀, vipassan)의 경전적 근거로 지목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초기불교 수행체계의 전형을 살핌과 동시에, 현존하는 위빠사나의 경전적 근거에 대한 고찰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제Ⅰ장에서는 Nikya에 나타나는 여러 부류의 사념처 관련 교설들과 비교를 통해 Mahsatipahna-Suttanta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이 경전이 몸(身)느낌(受)마음(心)법(法)의 4가지(cattro)를 매개로 마음지킴(sati)을 확립시켜(pahn) 나가는 과정을 밝힌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한편 제Ⅲ장은 ‘사념처 수행의 예비적 단계’, ‘마음지킴의 확립’, ‘법에 대한 마음지킴’이라는 3가지 소절로 다시 나누어진다. 첫 번째의 ‘사념처 수행의 예비적 단계’에서는 전체적인 수행의 도상에서 사념처를 닦기 위해 미리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서 계율의 준수를 언급하였다. 두 번째의 ‘마음지킴의 확립’에서는 마음지킴 즉 sati라는 용어의 수행론적 의의와 위상에 대해 기술하였다. 마지막의 ‘법에 대한 마음지킴’에서는 그것이 지닌 이중적 성격을 언급함으로써, 실제 수행이 교리적 내용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where cattāro satipaṭṭhāna is considered as a typical system of practice in the early Buddhism. Especially cattāro satipaṭṭhāna is important for those who practice Vipassanā meditation. All existing instructions of Vipassanā are directly or indirectly based on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In the first chapter with regards to the characteristic of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I confirmed that Cattāro Satipaṭṭhānā is not only based on Buddha's teaching but it is the way of practice which Buddha left to his disciples as his last instruction. I emphasized that Cattāro Satipaṭṭhānā is the only way of practice that can be verified by all Buddhists.
In the second chapter, I have divided content of Mahāsatipaṭṭhāna- Suttanta into four subjects: Body(kāya), Feeling(vedanā), Cognizance (citta) and True Idea(dhamma). These four items have been known as objects of mindfulness, constituting the substance of cattāro satipaṭṭhāna.
In the last chapter with regard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ttāro satipaṭṭhāna, I examined its functional concepts like sampajañña, sati, viditā, etc. These concepts are essential in practice of cattāro satipaṭṭhāna. Considering these concepts, we ar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attāro satipaṭṭhāna more clearly. In this way, this paper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theory of practice in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better.
目次I. 문헌의 성격 2
Ⅱ. 내용의 분석 3
1. 몸(身)․느낌(受)․마음(心)․법(法) 3
2. 내용의 구분 6
Ⅲ. 사념처의 원리와 실제 8
1. 사념처 수행의 예비적 단계 8
2. 마음지킴의 확립(satipaṭṭhānā) 과정 10
3. 법에 대한 마음지킴(法念處)의 이중성 14
ISSN12250945 (P)
點閱次數67
建檔日期2021.12.13
更新日期2021.12.1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047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