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조계종 표준본, ⾦剛經에 나타난 신행체계=Scriptures of the Jogye Order,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Faith and Practice in the Vajracchedikā-Prajñāpārāmitā-Sūtra
作者 신명희 (著)=Sin, Myung-hee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100 n.0
出版日期2021.11.30
頁次131 - 163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전(前)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장
關鍵詞『금강경』=Diamond Sutra; 보살=Bodhisattva; 보리심=aspiration for Buddhahood; 발심=發⼼=spiritual awakening; 육도=the 6 para- mitas; 오종수행=五種修⾏=the 5 types of practices; 정토=Pure Land
摘要이 논문은 『금강경』(鳩摩羅什 譯)에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어떻게 신행 체계가 구성되어 있고,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가를 규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금강경』이 선종(禪宗)의 소의경전이요, 우리나라 조계종의 종도들이 의지하는 경전임에도불구하고, 선사상이나 수행 · 신행과 관련된 논문이 많지 않다. 이에 본고는 『금강경』 에 나타난 신행 체계를 중심으로 논문이 작성되었다. 『금강경』의 경명(經名)인 ‘금강(⾦剛)’이란 무상(無上)을 의미한다. 금강(Diamond)이 어떤 금속성의 물건일지라도자를 수 있고,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듯이 반야(般若 = ⾦剛)는 모든 집착을끊고 피안(彼岸)에 이르는 강한 힘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논문에서 『금강경』의 신행체계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로 보살은 번뇌심 ➜ 보리심으로 전환하는데, 먼저 발심이 중요하다. 이렇게 발심해서 해탈을 추구하는데 있어 보살은 중생을제도했다거나 보시했다는 집착이 없는 무주상(無住相) · 무주심(無住⼼)이 수반되어야한다. 한편 발심(發⼼)이 매우 중요한데, 발심하는데 주사심(住四⼼)을 구족해야 한다. 두 번째로 대승의 보살은 반드시 공(空)과 무아(無我)를 체득해야 한다. 세 번째로보살의 수행덕목이 지복겸수(智福兼修)인데, 자리적(⾃利的) 수행은 말할 것도 없고, 타인이 무여열반에 들도록 보살행을 실천해야 한다. 이 보살행의 수행 · 신행 덕목이육도와 오종수행인데, 이를 실천하여 무위복(無爲福)을 추구해야 한다. 네 번째로 보살은 정토를 장엄하는데,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 불국토를 건설하는 것[唯⼼淨⼟]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faith and practice, as it ap- pears in the Diamond Sutra, has been organized and structured. The Diamond Sutra is a short scripture of the Zen sect of Buddhism (including the Jogye order).
There have not been many theses written which includes Zen thought and the structure of faith and practice in the Diamond Sutra. As such, this manuscript is centered on that topic. “Diamond,” as the word has been used with respect to the Diamond sutra, means “supreme.” Just as a diamond is harder than all other materials and is thus capable of cutting through them, the prajna or wisdom of the sutra is similarly powerful, and able to cut through obsessions and reach nirvana. In this thesis, the structure of faith and practice in the Diamond Sutra is divided into four main parts.
The first part concerns the bodhisattva as he converts the feeling of anguish into aspiration for Buddhahood. Here, sincere intention to attain spiritual awak- ening is important. In this way, with the intention to reach nirvana, the bodhisattva does not obsess over the liberating of others nor of giving alms. He em- bodies the practices related to non-abiding images and non-abiding mind.
Furthermore, the intention to attain spiritual awakening is necessary and thus one must abide by the four boundless states of mind. Secondly, the bodhisattva must, through experience, learn of emptiness and no-self. Thirdly, the moral practices of the bodhisattva contains both awareness and merit. There is no mention of practice for the development of self, the bodhisattva practices for the benefit of all others so they may reach enlightenment. Of these bodhisattva practices, including the structure of faith, are the 6 paramitas and the five types of practices. Once these have been fulfilled the mueuibok (無爲福) should be pursued. Fourth, the bodhisattva makes the Pure Land majestic. The mind being made clear is the establishment of the Buddha-lands or the mind-only Pure Land.
目次Ⅰ. 서론 133
Ⅱ. 이고득락(離苦得樂) 135
1. 이고득락 [번뇌심 ➜ 보리심으로 전환] 135
2. 주사심(住四⼼, 전도심 ➜ 부전도심으로 전환) 138
Ⅲ. 대승불도(⼤乘佛道) 141
1. 무상(無相) 증득 141
2. 무아(無我) 체득 142
Ⅳ. 지복겸수(智福兼修) 145
1. 주사심수육도(住四⼼修六度) 146
2. 믿음의 청정성 152
3. 오종수행의 무위복(無爲福) 154
Ⅴ. 장엄정토(莊嚴淨⼟) 157
Ⅵ. 결론 및 신행체계 159
ISSN12250945 (P)
DOI10.22255/JKABS.100.5.
點閱次數55
建檔日期2021.12.21
更新日期2021.12.2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120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