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New Analysis of 『Samguk Yusa(三國遺事)』 Queen Jinseong Geotaji(眞聖女大王 居陁知) Writings
作者 신선혜 (著)=Sin, Sun-hye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51 n.0
出版日期2019.08.30
頁次203 - 233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關鍵詞왕거인=Wanggeoin; 거타지=Geotaji; 진성여왕=Queen Jinseong; 승려규제=Monk regulation; 후백제=HuBaekjae; 삼국유사=samgukyusa; 왕건=Wanggeon
摘要『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조는 진성여왕대의 혼란상을 보여주는 왕거인, 거타지 설화로 구성되어 있다. 두 사례에 설화적 요소가 다분한 만큼 이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국문학적으로 접근하였지만, 진성여왕대의 사회상에 대한 보완자료로서 역사학적으로 연구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왕거인과 거타지를 각각 왕경의 상층민, 지방의 하층민으로 규정하여 본 조목이 진성여왕대 왕실에 대한 대내외적 반발을 상징한다고 보거나, 특히 거타지의 경우 지방의 토착신앙 혹은 변질된 불교에 대비된 정통 불교 세력을 상징한다고 파악하였는데, 이러한 시각들에는 왕거인이 大耶州의 隱者로 표현된 『삼국사기』의 기록과 거타지가 良貝의 무리로서 왕권을 대변하는 존재라는 점에 주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즉 왕거인 설화는 해인사를 중심으로 한 진성여왕대 왕실의 불교성향(혹은 불교정책)에 대한 大耶州 사람들의 반발을, 거타지 설화는 앞선 반발들에 대한 무마와 僧政의 문란 등에 대한 俗權의 개입을 정당화하고자 부정한 승려가 왕의 군사로 설정된 속권에 의해 처단된다는 내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진성여왕대의 왕실과 불교계에 대한 반발을 의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설화의 채록시기는 진성여왕대 이후로 생각되는데, 왕거인의 경우는 대야주의 후백제 함락 이후, 거타지의 경우는 왕건의 불교계 재편 시기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삼국유사』에 두 설화가 채록된 것은 신라 불교의 고려로의 연속성과 함께 고려초 불교계 재편의 의의를 부각시키기 위함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본 조목은 나말여초 시기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를 보여준다는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amguk Yusa(三國遺事)』 「Queen Jinseong Geotaji(眞聖女大王 居陁知)」 Writings are consisted of tale of Wanggeoin(王居仁) and tale of Geotaji(居陁知). Since there were a lot of fantasy aspects in both of the cases, the early research was mainly made in the Korean literature perspective, but it was also researched historically as complementary data for the social aspect of Queen Jinseong. However, because the previous researches viewed Wanggeoin and Geotaji each as high-class and low-class, it viewed this writing as the opposition against the Queen Jinseong realm. Especially for Geotaji, it was identified as the traditional Buddhist power contrary to the spoiled Buddhism, but it showed limitation in that Wanggeoin was viewed disorderly as a hiding person of ‘Daeyaju(大耶州)’ in 『Samguk sagi(三國史記)』 and Geotaji was viewed as ‘Yangpae(良貝)’s group’ representing the king’s realm. Therefore, the Wanggeoin tale is an opposition against the Queen Jinseong realm’s Buddhistic approach by the ‘Daeyaju’ people, and the Geotaji tale is about the punishment of the corrupted monk in order to justify the involvement of secular arm against the corruption in the Buddhism religion. On the other hand, it is estimated that the recording period of these two tales should be after the time of Queen Jinseong since it intends for the opposition against the queen’s realm. So the time for the Wanggeoin tale is after the invasion of HuBaekjae(後百濟), and the time for the Geotaji tale is during the restructuring of Buddhism of King Wanggeon(王建). With this, the reason for the inclusion of the two tales in 『Samguk Yusa』 is to show the continuation of Silla(新羅) Buddhism to Goryeo(高麗), and the restructuring of Goryeo Buddhism. Therefore, we must approach this writing with the time period of late Silla and early Goryeo, and with the view that i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m religion and the country.
目次Ⅰ. 머리말 205
Ⅱ.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의 내용 분석 208
Ⅲ. 王居仁 및 居陁知 설화의 채록시기와 『삼국유사』 편제의도 218
1. 후백제의 大耶城 함락과 왕거인 설화 218
2. 고려초 왕실의 불교계 재편과 거타지 설화 222
Ⅳ. 맺음말 227
ISSN12253154 (P)
DOI10.34275/kibs.2019.51.203
點閱次數117
建檔日期2022.01.03
更新日期2022.01.0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166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