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의상 화엄사상의 시간・시간성=The Problem of Time in the Huayen Thought of Uisang
作者 정호영 (著)=Chung, Ho-young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43 n.0
出版日期2015.08.30
頁次175 - 210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의상=Uisang; 시간=Time; 상입=mutual penetration; 상즉=mutual identity; 일념=one moment; 성불론=attainment of the Buddha; 구래성불=Buddha-from-old-times
摘要우리는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에서 ‘거래’去來와 ‘부동’不動이라는 일견 모순된 개념이 동시에 주장되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러한 모순성은 화엄사상의 독특한 연기관, 상입・상즉의 논리에 기인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측면이 화엄사상가 모두에게 보이는 것은 아니다. 이 글은 특히 의상의 사상에 스며있는 시간의 문제를 추적함으로써 의상이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갔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의상의 중문・즉문의 논리는 지엄, 법장과도 다른 독특한 점이 있다. 의상은 이를 예외 없이 ‘거래’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가고 옴’의 문제와 결합되어 설명되고 있는 의상의 ‘수십전법’의 비유는 중문・즉문의 논리가 결국 ‘수렴’과 ‘확산’의 의미를 갖게끔 한다. 이러한 관계는 ‘삼세가 곧 일념’이라는 화엄사상의 시간론에도 적용된다. 삼세가 일념으로 수렴되고 다시 일념이 삼세로 확산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가능한 것은 화엄의 시간론이 객관적, 공간적인 시간이 아니라 내면화되어 의식의 문제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시간론이 관법과 연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의상 사상의 시간성은 그의 성불론에 잘 드러나 있다. 그의 성불론으로 대표적인 ‘구래불’, ‘내 오척되는 몸’, ‘자체불’이 각각 과거, 현재, 미래로 배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구래불’은 깨달음을 얻을 때 자각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나의 미래불인 ‘자체불’에 예배하는 것은 미래의 일이 아니라 지금 행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현재의 사건이다. 과거와 미래가 현재 속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현재는 끊임없이 흘러간다. 한 찰나로서의 지금은 틀림없이 존재하지만 그것은 존재하는 순간 무로 사라진다. ‘내 오척되는 몸’도 이러한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 이 ‘내 몸’은 ‘구래불’로서 이미 깨달은 존재이지만, ‘자체불’에 예배하는 자로서 아직 깨닫지 못한 자이다. 그런데 이 이중성이야말로 시간의 이중성과 다르지 않으며, 수행이 가능한 근거이다. 이렇게 시간의 문제는 의상의 사상에서 수행론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We can find the contradictory ideas such as 'going and coming' and 'no movement' are asserted at the same time in Diagram of the Dharmadhātu written by Uisang(625~702). This kind of contradiction is supposed to be originated from the unique logic of mutual penetration and mutual identity, which is the basic idea of Huayen philosophy. Nonetheless we can find the basic differences in explanations of that logic among the Huayen philosophers. This treatise aims to trace how the problem of time was treated in the thought of Uisang, with the vision that it will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his uniqueness.
Uisang has very intimate relationship with Zhiyan and Fazang as his master and as a colleague, but he is very different from them in holding the middle way as the basic foundation of his thought. It is also connected with this fact that he explains the logic of mutual penetration and mutual identity in association with the 'going and coming' without any exception, especially in the explanation on the simile of 'counting the ten coins'. As a result, we can read the meaning of the mutual penetration as convergence and that of mutual identity as proliferation. And we can find that these two meanings work in Huayen time theory which is represented as 'Past, present and the future, these three are one moment'. Accordingly these three converge in one moment, and one moment proliferates to three points in time. All these dynamic condensation and extension of time are possible just because the time was internalized as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s we can find the same tendency in the philosophy of St. Augustine.
The characteristics of Uisang's understanding of the time is well represented in his theory of the attainment of the Buddha. It is because his basic ideas on the Buddhas are arranged on the sequence of time. Namely 'Buddha-from-old-times', 'My-five-feet-body' and 'Buddha-by-itself' were explained as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Buddhas. But at the same time we must keep the following perspective deep in mind. We find out that we are the Buddha-from-old-times just when we get enlightenment. This means that Buddha-from-old-times does not belong to the past, He belongs to the present and acts vividly just at the time we get enlightenment. And the Buddha-by-itself regarded as my future Buddha also belongs to the present, because we worship Him at present time. From these facts, we know clearly that the past and the future converge into the present.
The present flows continuously without cessation. It is certain that one moment at present does exist, but it is also certain that it disappears into non-being. My-five-feet-body has the same contradictory dual meaning. My-body has the enlightenment already as the Buddha-from-old-times, and at the same time is not an enlightened one as a person who worships the Buddha-by-itself. However this duality is not different from the duality of the time, and this is the basis or
目次Ⅰ. ‘오고 감’과 ‘움직이지 않음’의 문제 177
Ⅱ. ‘일념이 곧 헤아릴 수 없는 겁’에서의 일념 181
1. 중문・즉문의 논리 181
2. 공간적 시간에서 내면의 시간으로 183
3. 시간의 응축과 확산 188
Ⅲ. 의상 성불론의 시간성 190
1. 구래성불에서 ‘구래’의 의미 190
2. ‘지금의 내 몸’ 198
3. 자신의 미래불에 예배한다는 것 200
Ⅳ. 맺음말 204
ISSN12253154 (P)
點閱次數62
建檔日期2022.01.15
更新日期2022.01.1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261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