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원측의 『해심밀경소』에 나타난 알라야식의 해석과 그 특색=Interpretation of the Ālayavijñāna in Wonchuk's Commentary on Samdhinirmocanasūtra
作者 안성두 (著)=Ahn, Sung-doo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35 n.0
出版日期2011.08.30
頁次43 - 78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서울대학교
關鍵詞유식; 알라야식=Store-house consciousness=ālayavijñāna; 아말라식=amalavijñāna; 원측=Wonchuk; 현장; 진제=Paramārtha; 9식설; 섭론종=Mahāyānasaṃgraha school; 지론종=Daśabhūmikasūtra(Ti-lun) School; 一無性理; Mind-Only school; Self-Nature=svabhāva; niḥsvabhāvatā
摘要이 논문은 원측의 알라야식 해석의 특징을 원측의 논서에 의거하여 그 논의맥락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주로 그의 『해심밀경소』에서 「심의식상품」 주석의 설명을 중심으로 해서 원측의 청변과 보리류지 및 진제의 식설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주로 다루었다. 청변의 식설은 포용적으로 다루어지며, 보리유지의 경우도 큰 비판없이 포용적인 태도로 다루고 있다. 반면 원측은 진제의 식설을 여섯 가지 점으로 구분하면서 매우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진제에 대한 강한 비판은 당시 진제의 이론이 현장의 유식학이 극복하고자 했던 잘못된 유식설로서 취급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은 진제가 하나의 진여(一眞如)에 대해 삼성을 제거함에 의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삼무자성을 긍정하고 또 독립된 원리로서 삼무성을 一無性理로서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며, 이는 相을 떠난 性을 인정하는, 다시 말해 연기하는 사태를 떠나 연기의 원리를 세우려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The present paper, basing 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ālayavijñāna found mainly in Wonchuk's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deals with the problems, what are the main differences of the philosophical standpoint of Wonchuk(圓測) from other representatives of rivaling schools, for example, Bhāvaviveka(淸辨) of the Mādhyamika school, Bodhiruci(菩提留支) of the Daśabhūmika schoo(地論宗), and particularly the great Indian translator Paramārtha(眞諦) of the Mahāyāsaṃgraha School(攝論宗). In his commentaries, Wonchuk sees no problem to accept and to evaluate the interpretations of the first two masters positively. My own impression is that the positive evaluation migh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ir Indian origin. However, with regard to the theory of amala-vijñāna suggested by Paramārtha, he criticized very hardly Paramārtha's viewpoint on this kind of the ninth Pure Consciousness in six points. His criticism toward Paramārtha shows that the theory of amala-vijñāna is not at all to be accepted by or to be harmonized with the established theories of his own school.
The reason why the amala-vijñāna is totally negated by him is that it would lead to the acceptance of independent existence of the Thusness(tathatā) apart from the phenomenal things. In so doing, Paramārtha seems to recognize the Triniḥsvabhāvatā as an ontological principle of the Nature of Selflessness(一無性理), which exists in its own right. This principle can be established by way of negating the Self-nature. However, this kind of self-existence of an ontological principle would be equivalent to the attitude, which asserts the existence of the Thing-ness without concrete phenonenon.
目次Ⅰ. 들어가는 말 45
Ⅱ. 청변의 알라야식 비판과 이에 대한 원측의 반박 48
Ⅲ. 보리유지의 식설과 그 비판 51
Ⅳ. 진제의 九識說과 그 비판 55
Ⅴ. 삼성설의 맥락에서 본 원측의 아말라식 비판의 의미 66
Ⅵ. 맺는 말 71
ISSN12253154 (P)
點閱次數173
建檔日期2022.01.17
更新日期2022.01.1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286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