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번역과 독창적 사유 -- 동아시아불교의 정체성과 관련하여=Translation and [Mis]understanding: East Asian Buddhism Revisited through Indic Buddhist Terms in Classical Chinese
作者 조성택 (著)=Cho, Sung-taek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31 n.0
出版日期2009.08.30
頁次75 - 110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동아시아불교=East Asian Buddhism; 경전번역; 한역경전의 오역; 한문불교; Indic Buddhist Terms in Classical Chinese; Buddhist texts in Classical Chinese
摘要일반적으로 동아시아불교의 형성에 관하여 역사학자들은 일련의 과정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이질적 문화인 인도불교에 대한 이해와 수용으로부터 시작하여, 동화와 융합의 과정을 거쳐 철저한 ‘자기화’의 완성이라는 문명교류의 일반적 과정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아시아불교의 정체성에 관해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는 ‘일련의 과정’을 좀 더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동아시아 불교는 이해가 아닌 ‘오해’에서 출발한다. 한역 경전은 정확한 의미의 전달이라고 하는 번역의 일차적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아시아불교란 단순히 인도불교에 대한 ‘동아시아적 이해와 변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곧 한문불교이며 전적으로 번역경전에만 의존하여 형성된 불교이다. 동아시아불교의 특징을 담고 있는 천태, 화엄 그리고 그 정점에 있는 선불교 등은 철저하게 한역경전만을 통해 형성되고, 한문불교 체계 내에서만 그 의미구조가 이해되는 불교인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Produced within the framework of a systematic state enterprise with its own translation theories and manuals, Buddhist texts in Classical Chinese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del cases of translation in terms of readability and accuracy.
Concomitantly,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e successful indigenization of the Indian tradition in East Asia was possible primarily through the readable and accurate translations of Indic texts into Classical Chines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Buddhism was, therefore, a result of a series of a long process includ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wing to accurate translation, ‘assimilation into local tradition,’ and finally, ‘forming their own unique identity.’ However, upon careful examination of the Buddhist terms in Classical Chinese, we find that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From the lens of modern Buddhist scholarship, where research is often carried out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Buddhist texts such as Sanskrit, Pali, Classical Chinese, and Tibetan texts, we find that some of the Indic Buddhist terms are inadequately and erroneously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This paper argues that accurate translations were not essential nor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formation of a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Rather East Asian Buddhism, in a sense, began from misunderstanding generated by inaccurate translation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making East Asian Buddhism unique, as we will see, was due to the continuing circulation of texts in translation, accurate or not, without referring to the original Indic texts. Moreover, this is a remarkable inspiration to Humanities in Korea, where scholars tend to refer to original texts--not to Korean translations--in scholarly discussions and for teaching at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s.
目次I. 서론: 번역과 이/오해 77
I-1. “위스키는 신선한데 고기는 상했구나” 77
I-2. 한역 경전의 성격과 번역 시스템 78
II. 한역 경전의 오역 사례들 81
II-1. 無生法忍: 法의 無生을 ‘참다’(?) 81
II-2. "atta-dīpa, dhamma dīpa": 등(燈)인가, 섬(洲)인가? 85
II-3. 『금강경』 衆生相의 의미에 관하여 88
III. 결론 100
III-1. 번역과 동아시아불교의 정체성 100
III-2. 번역과 인문학: 한국적 인문학의 정립을 위한 한 제언 104
ISSN12253154 (P)
點閱次數65
建檔日期2022.01.23
更新日期2022.01.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330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