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白坡亘璇의 三種禪 考察=Three Kinds of Meditations[三種禪] of BaekPa GeungS n[白坡 亘璇]
作者 하미경 (著)=Ha, Me-kyoung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10 n.0
出版日期2005.04.30
頁次49 - 89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박사과정 수료
關鍵詞本分眞如; 眞空一竅; 不變; 隨緣; 妙有三要; 二種禪; 三種禪; 祖師禪=Patriarch-Meditation; 如來禪=Tathāgāta-Meditation; 義理禪=Principal-Meditation;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禪文手鏡』
摘要白坡亘璇(1767-1852)은 전통적인 二種禪의 분류에 반기를 들어 三種禪을 주장하게 된다. 이 삼종선 주장은 임제삼구에 근거를 두고 삼종선 사상을 확립시키고 있다. 임제삼구에서 第一句를 깨달아 佛祖의 스승이 되고․第二句를 깨달아 人天의 스승이 되며․第三句를 깨달으면 自求不了라고 말한 이 三句를 禪文手鏡에서 三種禪인 祖師禪․如來禪․義理禪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백파의 독자적인 선관을 제시하면서, 깨달음이라는 이상의 세계와 薰習을 통해 현실계로 향하는 二分法的인 세계관을 통해 좀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의 수단으로서 活用하고자 했던 것이다.
백파긍선이 선문수경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가장 중요한 점은 철저히 不立文字의 祖師禪風을 따라서, 文字에 의지하지 말라는 古來의 禪 家風에 대하여 문자에 의지하지 않기 위해서는, 문자의 참된 뜻을 간파해야 된다는 입장에서 선문수경을 만든 것이다. 따라서 禪文이란 문자로써 禪門을 통과하기 위한 도구이고, 手鏡이란 손거울처럼 활용하라는 것이다. 그 의미를 바로 알아야 문자에 의지하지 않는 궁극적인 의미를 바로 아는 것이다.
선문수경의 핵심은 見性成佛이다. 見性成佛이란 결국 禪文에 의해서 禪門을 통과하는 방식이 된다. 그리고 禪門은 문 없는[無門] 門을 의미하며 이 無門을 통과하기 위한 도구(方便)가 文이 되는 것이다. 方便이라는 文은 실상 無門關[물]을 통과하는 도구[배]이고 건너서는 버리는 것[不立文字] 이것이 진정한 본질을 體得하는 것이다. 이러한 不立文字가 바로 敎外別傳이고 格外禪이며, 白坡가 주장하고자 했던 진정한 祖師禪이 지향하는 見性成佛이다.
禪文手鏡에서는 ‘本分眞如’를 不變과 隨緣으로 분류하여 이상계와 현상계가 공존하는 것으로 보고 있고, 조사선에서는 眞空과 妙有로 이상계와 현상계가 공존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本分眞如와 新熏三禪의 관계는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임을 알게 하는 것이 백파의 중요한 해결 과제였다. 그래서 진여로부터 현상으로 다가오는 매개체는 불변․수연 중에서 수연이 되고, 현상에서 이상으로 나아가는 매개체는 조사선을 깨달은 진공․묘유중에서 진공이 된다.

“BaekPa GeungS n”[白坡 亘璇](1767-1852) persisted in “Three Kinds of Meditations”[三種禪] raising the flag of revolt against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Two Kinds of Meditations.”[二種禪] This assertion establishes the concept of Three Kinds of Meditations based upon Linji Yixuan's Three Phrases[臨濟三句]. “Linji Yixuan's Three Phrases” are explained as undermentioned. By realizing the First Phrase, you could be the Teacher of All Buddhas and Patriarchs, and by obtaining the meaning of the Second Phrase, being the Teacher of the gods and Mankinds(devamanuṣya), and if you could understand the Third Phrase, that means you cannot complete what you desire[自求不了]. And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禪文手鏡』says they are Three Kinds of Meditations such as Patriarch-Meditation[祖師禪], Tathāgāta-Meditation[如來禪], and Principal-Meditation[義理禪].
This distinctive feature presented PaekPa's[白坡] personal meditative views and tried to use more concrete and systematic means of method through the world view of dichotomy which goes toward the ideal realm called enlightenment and the real society of undergoing influence. BaekPa GeungS n“ had a point of view when he authored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in order not to depend on the letters.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point what he wanted to tell through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is that in order not to rely on letters you should penetrate the real meaning of letters according to the ancient meditative atmosphere not to lean on the letters. Therefore meditative writings[禪文] are the means to get through the Meditative Gate[禪門], and Handy Mirror[手鏡] means that you should use it with ease. When you know the meaning correctly, then you realize the ultimate significance which is not relying on the letters.
The core of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is that when you are enlightened, you are a Buddha[見性成佛]. Being a Buddha by enlightenment is after all the method with meditative writings to go through the meditative gate. And the meditative gate means the gate without a door[無門], and the instrument to pass through this gate is the meditative writings. Letters as a device is actually the tool(a ship) to cross the gateway without a door[無門關](water) and when you throw away the ship after crossing[不立文字], then you could comprehend the authentic essence. This state of not to rely on letters[不立文字] is the external teaching of separate transmission[敎外別傳] and Extraordinary Meditation [格外禪], and Enlightenment[見性成佛] which “BaekPa GeungS n” advocated as the genuine Patriarch-Meditation[祖師禪].
In “The Handy Mirror for Meditative Writings”, it classified Original True Nature[本分眞如] as Unchangeability[不變] and Accompanying condition[隨緣], thus persists Ideal World and Phenomenal World to be coexisted. And in the Patriarch Meditation, it classified as True Emptiness[眞空] and Wondrous Being[妙有] to be coexisted. Ther
目次Ⅰ. 序言 49
Ⅱ. 三種禪의 思想的 源流 51
Ⅲ . 白坡亘璇의 二分法的 分類 61
1. 向上本分眞如[理想界] 62
2. 向下新熏三禪[現象界] 67
Ⅳ. 結語 80

ISSN15980588 (P)
點閱次數21
建檔日期2022.03.19
更新日期2022.03.1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622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