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虛堂集』古則의 구조 및 내용의 특징 고찰=A view of frame and contents through The 『HSUTANGCHI』
作者 김호귀 (著)=Kim, Ho-gui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28 n.0
出版日期2011.04.30
頁次11 - 61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關鍵詞본래면목; 평상심; 현성공안; 선문답; 허당집=『HSUTANGCHI』; 단하자순=TANHSIA - TZUCHUN; 임천종륜=LINCHUAN - TSUNGLUN; 고칙; 수시; 착어; 평창; 송고; 염고; 공안집; seon - catechism; the one hundred of the seon - catechism;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 Realizatrion; ascetic practices; enlightenments; CAODONG sect; the pure-mind; the nature - mind; indiscretion - mind; un - thought; the educational campaign
摘要선문답의 해석방식에는 일정하게 정해진 틀이 없다. 틀이 없다는 것은 하나의 동일한 공안이 그것을 참구하는 사람에 따라서 결코 같지 않다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만큼 선문답은 그것을 참구하고 문답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되는 일종의 機關이다. 그런만큼 선문답을 접근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밖에 없다. 이 가운데 『허당집』에 수록되어 있는 백칙의 문답은 그 좋은 일례이다. 여기에 드러나 있는 주제는 작게는 참으로 다양하지만 크게는 1) 본래면목에 대한 문답, 2) 수행과 깨침을 주제로 한 문답, 3) 평상심의 실천 및 조동의 가풍에 대한 문답, 4) 현성공안 및 교화에 대한 문답 등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래자기에 대하여 눈 뜨기를 지향하는 선지식과 제자의 문답에서 자신의 본래면목을 발견하는 일종의 테크닉을 엿볼 수가 있다. 또한 조사선의 특징이기도 한 평상심 나아가서 조동가풍의 주도면밀한 종지를 언급하여 문답으로 활용한 것은 결국 보살도의 실천으로서 제자에 대한 교화방식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제시된 많은 교화방식은 본래자기가 현실에 투영된 현성공안 바로 그것이었다. 이에 『허당집』에서 겨냥하고 있는 선문답의 모습은 본래자기에 대한 발심으로부터 수행을 통하여 증득하고 그것을 납자들에 대한 교화로 지향하는 보살도이기도 하였다.

The 『HSUTANGCHI』 is the records of zen - catechism by two zen - master TANHSIA - TZUCHUN(丹霞子淳) and LINCHUAN - TSUNGLUN(林泉從輪). TANHSIA - TZUCHUN compiled one hundred of the zen - catechism and LINCHUAN - TSUNGLUN commented the one hundred of the zen - catechism.
We can found three type of the one hundred of the zen - catechism in 『HSUTANGCHI』. The first type is zen - catechism of emphasizes the ben lai ming mu, it means the Original Face. Also this is the benzheng - zijiao, it means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 Realizatrion.
The second type is theme of zen - catechism about the ascetic practices and enlightenments. Here we know the ascetic practices is enlightenments and enlightenments is ascetic practices. Therefore ascetic practices and enlightenments are coincide.
The third type is the zen - catechism about practice of pure - mind and customs of the CAODONG sect among the five - sects of zen. The pure - mind is the nature - mind, Indiscretion - mind and un - thought of everybody.
The fourth type is the zen - catechism about the represented with the xian cheng gong an and the educational campaign. The represented with the xiancheng - gongan, it means Revelation of Koan and the educational campaign, it means the salvation of disciples to enlightenment.
Therefore, we reach a conclusion that the one hundred of the zen - catechism in 『HSUTANGCHI』 holds a lot of means. The contents are the awakening of faith, the ascetic practices, the enlightenments and the educational campaign.
目次1. 서언 15
2. 『허당집』 고칙의 구조와 분석 18
3. 『허당집』 고칙에 나타난 내용의 특징 24
1) 본래면목에 대한 문답 24
2) 수행과 깨침을 주제로 한 문답 33
3) 평상심의 실천 및 조동의 가풍에 대한 문답 39
4) 현성공안 및 교화에 대한 문답 49
4. 결어 56
ISSN15980588 (P)
點閱次數67
建檔日期2022.03.26
更新日期2022.04.0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697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