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무생법인(無生法忍)의 구조와 무생선(無生禪)의 실천=Principles of Anutpattika & Practice of Anutpattika - Dharma - Kṣāanti
作者 김호귀 (著)=Kim, Ho-gui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39 n.0
出版日期2014.12.30
頁次97 - 126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불교학술원 연구교수
關鍵詞무생; 무생법인; 무생행; 금강삼매경; 유마경; 금강반야경; 사종심; 무아; 무생선; 無生智; Vajra sammādhi Sūtr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Vimalakītti Nirdeśa Sūtra; Mahayana-Boddhisattva; Boddhisattva; pāramitā; No-delusions; Anutpattika-dharma-kṣāanti; Anutpattika
摘要무생은 번뇌가 없는 상태이고, 무생법인은 번뇌의 본래공을 깨우치는 무생의 터득이다. 따라서 忍은 그 터득된 지혜를 가리킨다. 이에 무생법인은 집착이 없는 마음으로서 견본심 및 견불성의 터득이다. 일체법이 무아라는 근거를 통하여 분별을 벗어나고 집착을 벗어나는 행위가 다름아닌 무생행이다. 무생행은 또한 시비분별과 조작관념이 없는 무념으로서 무생의 실천으로서 無功用이기도 하다.
이러한 무생법인에 대하여 『유마경』에서는 佛果의 正位로 설명하였고, 『금강경』에서는 보살의 4종심으로 설명하였으며, 『금강삼매경』에서는 아마륵의 열매를 비유로 들어서 그 속성을 自生도 아니고 他生도 아니며 共生도 아니고 因生도 아니며 無生도 아님을 말하였다. 그래서 무생법인은 일체번뇌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무생행의 실천으로서 삼매의 터득 및 불보살로부터 받는 수기에까지 관련되어 있다.
원효는 무생법인의 지혜를 無生智라 하여 능소심을 벗어나서 피안에 도달하는 반야바라밀의 근거로 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삼매 및 수기의 근거로 등장해 있는 무생법인은 많은 대승경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그 과정이 동일하지는 않은 까닭에 대승의 수행과 신행에서는 무생행으로서 정토수행 및 선수행과 관련하여 널리 강조되기도 하였다.
『금강삼매경』에서는 제법의 무아를 설하는 무생법 및 무생심이 그 실천으로서 무생행 및 무생법인으로 전개되어 무생의 속성과 구조와 그 실천을 통하여 무생선의 작용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곧 諍과 論이 없는 무차별심은 性과 相이본래공적한 무생행으로서 得과 失이 없고 말씀과 언설이 없으며 知와 覺이 없고 幻과 相이 없는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무생의 원리가 무생법인으로 터득되고, 무생법인이 무생행으로 작용하며, 무생행이 무생선으로 실천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Anutpattika-dharm-kṣāanti, this notion is to realize that all things are beyond birth and decay. This is the stage attained by a bodhisttva. Anutpattika is the realm beyond rise and decay. Therefore the anutpattika-dharmakṣāanti is attained of Buddha nature or pure mind. And this notion is becoming of no-attachment in seon practices. This is the state of no-efficacy, nodistinction, no-fiction and no-delusions.
No-delusions is the state of tranquility of mind and one’s true self, that is to say, understand of dharma. We call that Prajñā, so called, the wisdom about one’s true self. A great variety of anutpattika-dharma-kṣāanti notions are recorded Buddhist scriptures.
For instance, Vimalakītti-Nirdeśa-Sūtra(維摩所說經) explained the mysterious identity of various things ultimate reality.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金剛般若波羅蜜多經) explained the broad and wide for sattva mind, the primary for sattva mind, the everlasting compassion for sattva mind, and not falling down for sattva mind. Vajra-sammādhi-Sūtra(金剛三昧經) explained not self generation, not others generation, not together generation, and not nogeneration. And the Vajira-samadhi is means diamond sitting-meditation.
This Vajira-samadhi is considered of supreme samadhi most of all in Buddhist canons.
Therefore anutpattika-dharma-kṣāanti was established for wisdom and sammādhi and no-discrimination mind. Therefore, the typical practices of Mahayana buddhism is six pāramitā by Boddhisattva. In this time, Bodhisattva means Mahayāna-Bodhisattva. Mahayana-Bodhisattva must have the compassion and wisdom. But both of the notions to sum up is realization of anutpattika-dharma-kṣāanti. This notion spread out the boddhisattva movement in many aspects of Pāramitā. These are donation-pāramitā, observance-pāramitā, endurance-pāramitā, effort-pāramitā, meditation -pāramitā and wisdom-pāramitā, prayer-pāramitā, happy-pāramitā, penitence- pāramitā, magic formula-pāramitā, enlightenment-pāramitā, truth-pāramitā, confidence-pāramitā, reading scriptures- pāramitā, zenpāramitā and concentration-pāramitā.
目次국문 초록 97
Ⅰ. 서언 99
Ⅱ. 무생의 의미 100
Ⅲ. 무생의 구조 106
Ⅳ. 무생의 실천 115
Ⅴ. 결어 120
참고문헌 122
Abstract 125
ISSN15980588 (P)
點閱次數56
建檔日期2022.05.21
更新日期2022.05.2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073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