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문정왕후의 불교 중흥에 대한 시대 배경적 검토=A historical background review on the revival of Buddhism by Queen Munjeong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61 n.0
出版日期2022.04.30
頁次91 - 125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關鍵詞보우=Bowoo; 내수사=內需司=Naesusa; 훈척=勳戚=Huncheok; 선·교 양종=禪·敎 兩宗=Seon-Gyo Yangjong; 승과=僧科=Seounggua; 명종=明宗=Myeongjong; 허응당=虛應堂=Heoeungdang; 여주=女主
摘要문정왕후의 불교 중흥은 유교가 안정된 조선 중기에 벌어진 특이한 사건이다. 이를 이해하는 관점으로 ‘문정왕후의 강력한 권력에 의한 불교 진작(振作)’과 ‘보우(普雨)라는 걸출한 승려의 활약’의 두 가지가 대두된 바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조선의 안정기에벌어진 불교의 중흥을 납득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이 가능할 수 있었던 시대 배경을 부각해, 보다 합리적인 해법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불교 중흥이 가능할 수 있었던 시대 배경으로 주목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조선의 불교 억압 및 정책 실패로 승려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부분. 둘째는 명종의 집권에 따른 권력구조의 재편과정에서 사림(士林)이 몰락(을묘사화)하고, 문정왕후의 세력이강화된다는 점이다. 여기에 명종의 유약한 성격도 일조를 하게 된다.
즉 ‘제도적인 문제에 따른 해결책의 요청’이라는 시대적 과제. 그리고 ‘사림의 몰락과유교의 분열’이 문정왕후의 불교 중흥이 가능하게 하는 복합적 구조를 완성한 것이다.
끝으로 보우의 역할은 알려진 것보다 제한적이었다는 점. 또 당시 승려의 수준 저하와능동적인 개선 의지의 미비로 인해, 중흥 기간이 15년이나 지속되었음에도 숭유억불의반전 계기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도 보다 분명히 하였다.

The revival of Buddhism by Queen Munjeong is a unique event that took place during the mid-Joseon period, when Confucianism was stably established. Scholars used to understand thisin two points: ‘Buddhist booming by Queen Munjeong’s powerful power’ and ‘The works of an outstanding monk named Bowoo(普雨)’. However, they cannot fully explain the revival of Buddhism that occurred during the stab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derive more rational reasons by highlight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such a situation was possible.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e background of the era when such a revival of Buddhism was possible. The first one is that the number of monks exploded due to the suppression of Buddhism and policy failures at that time in Joseon. The second is that,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power structure after enthronement of Myeongjong, Confucius scholar groups(士林) collapsed (Eul-myo Sahwa) and the power of Queen Munjeong wasstrengthened.
Myeongjong’s weak personality also played a part there.
In other words, the task of the times as ‘the request for solutions according to institutional problems’ and the ‘fall of Confucius scholar groups and the division of Confucianism’ completed the complex structure that made Queen Munjeong’s Buddhist revival possible.
Finally, this paper shows that Bow’s role was rather limited than known. In addition, it makes more clear that there was no opportunity for the reversal due to the low level of the monks at that time and the lack of active will for improvement even though the period of revival lasted 15 years.
目次국문초록 91
Ⅰ. 서론 92
Ⅱ. 불교 중흥의 배경과 불교 정책의 실패 93
1. 불교 중흥이 가능했던 상황 분석 93
2. 억압적인 불교 정책의 실패와 한계 96
Ⅲ. 문정왕후의 주도적인 노력과 허응당 보우 103
1. 불교 중흥의 명분과 보우의 한계 103
2. 문정왕후의 보우 발탁과 시기 109
3. 내수사의 활용과 불교계의 한계 113
Ⅳ. 결론 119
참고문헌 122
Abstract 124
ISSN15980588 (P)
點閱次數51
建檔日期2022.06.05
更新日期2022.06.0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181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